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의 가상화 환경을 위협하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CVE-2025-55224는 Windows Hyper-V에서 발견된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으로, CVSS 점수 7.8의 Critical 등급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성공적으로 악용될 경우 가상머신에서 호스트 시스템으로의 경계 탈출을 가능하게 하여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CVE-2025-55224 취약점의 정체를 파헤쳐보자
CVE-2025-55224는 Windows Win32K – GRFX 구성요소에서 발생하는 race condition과 use-after-free 취약점입니다. 쉽게 말해, 그래픽 처리 과정에서 메모리 관리에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보안 허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의 핵심 특징
공격 방식의 이해
- Race Condition: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같은 자원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경쟁 상태
- Use-After-Free: 이미 해제된 메모리에 접근하려 할 때 발생하는 메모리 오류
- 공격자가 race condition을 성공적으로 이용하면 게스트 호스트의 보안 경계를 우회하여 Hyper-V 호스트 머신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위험도 평가
- CVSS 점수: 7.8 (Critical)
- 공격 복잡도: 높음 (High)
- 악용 가능성: “Exploitation Less Likely”로 평가되었지만, 성공시 영향은 매우 심각합니다.
2. 어떤 시스템이 영향을 받을까? – 대상 시스템 확인하기
이 취약점은 다양한 Windows 버전에 영향을 미칩니다. Windows 10, 11, Server 2019, 2022, 2025가 모두 포함됩니다.
영향받는 시스템 목록
운영체제 | 버전 | 영향 여부 |
---|---|---|
Windows 10 | 22H2, 21H2 | ✅ 영향받음 |
Windows 11 | 24H2, 23H2, 22H2 | ✅ 영향받음 |
Windows Server 2019 | 모든 빌드 | ✅ 영향받음 |
Windows Server 2022 | 모든 빌드 | ✅ 영향받음 |
Windows Server 2025 | 모든 빌드 | ✅ 영향받음 |
특히 주의해야 할 환경:
- Hyper-V 호스트 서버: 가상화 환경을 운영하는 모든 서버
-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환경: 가상 데스크톱을 제공하는 인프라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Azure, AWS 등의 가상화 서비스
3. 패치는 언제 나왔을까? – 2025년 9월 보안 업데이트 소개
Microsoft는 2025년 9월 Patch Tuesday에서 이 취약점을 포함한 80개의 CVE를 수정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공개된 두 개의 제로데이 취약점도 함께 수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주요 패치 정보
- 릴리즈 날짜: 2025년 9월 9일 (화요일)
- 패치 우선순위: Critical (최우선 적용 권장)
- 수정된 취약점 총계: 84개
- Critical 등급: 8개
- Important 등급: 73개
4. Windows 클라이언트 시스템 패치 방법 – 단계별 완벽 가이드
Windows Update를 통한 자동 패치
가장 일반적이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설정(Settings) > Windows Update로 이동한 후 ‘업데이트 확인(Check for Updates)’을 클릭하면 됩니다.
Windows 10 사용자
Windows키 + I
누르기- 업데이트 및 보안(Update & Security) 클릭
- Windows Update 선택
- 업데이트 확인(Check for Updates) 버튼 클릭
- KB5065429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됩니다 (빌드 19045.6332로 업데이트)
Windows 11 사용자
Windows키 + I
누르기- Windows Update 직접 클릭
- 업데이트 확인(Check for Updates) 버튼 클릭
- 24H2 버전은 KB5065426(빌드 26100.6584), 23H2 버전은 KB5065431로 업데이트됩니다
Microsoft Update Catalog을 통한 수동 다운로드
네트워크 환경이나 정책상 자동 업데이트가 어려운 경우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Microsoft Update Catalog 웹사이트 접속
- 해당 KB 번호로 검색 (예: KB5065429)
- 시스템 아키텍처에 맞는 패치 다운로드
- 관리자 권한으로 .msu 파일 실행
주의사항: 이 업데이트는 필수 보안 업데이트이므로 자동으로 설치가 시작됩니다. 재시작 시간을 예약할 수 있으니 미리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5. Windows Server 환경 패치 가이드 – 기업 환경 맞춤 방법
Server Manager를 통한 패치
Windows Server 환경에서는 Server Manager를 통해 체계적으로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서버 관리자(Server Manager) 실행
- 로컬 서버(Local Server) 클릭
- Windows Update 영역에서 업데이트 없음(No Updates) 링크 클릭
- 설정(Settings) 앱이 열리면 업데이트 확인 실행
PowerShell을 통한 배치 업데이트
여러 서버를 한번에 관리해야 하는 경우 PowerShell이 매우 유용합니다.
# PSWindowsUpdate 모듈 설치 (최초 1회)
Install-Module PSWindowsUpdate -Force
# 업데이트 확인 및 설치
Get-WUInstall -AcceptAll -AutoReboot
# 특정 KB만 설치하는 경우
Get-WUInstall -KBArticleID KB5065426 -AcceptAll -AutoReboot
Windows Server 2025 특별 고려사항
Windows Server 2025의 경우 KB5065426 업데이트를 적용하면 PowerShell 2.0이 더 이상 포함되지 않습니다. 레거시 스크립트나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에 PowerShell 5.1이나 7.x로 업데이트하시기 바랍니다.
6. WSUS 환경에서의 중앙집중식 패치 관리 – 대규모 인프라 운영 노하우
WSUS 서버 설정 및 승인
WSUS를 사용하면 조직 내에서 업데이트를 연기하고, 선택적으로 승인하며, 전달 시기를 선택하고, 어떤 개별 장치나 장치 그룹이 업데이트를 받을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WSUS 콘솔 접근
- WSUS 관리 콘솔(WSUS Administration Console) 실행
- 업데이트(Updates) → 모든 업데이트(All Updates) 선택
- 분류(Classification): “보안 업데이트(Security Updates)” 필터 적용
- 제품(Products): 해당 Windows 버전 선택
패치 승인 프로세스
- 2025년 9월 보안 업데이트 검색
- CVE-2025-55224 관련 업데이트 확인
- 테스트 그룹에 먼저 승인
- 24-48시간 테스트 후 전체 배포 승인
그룹 정책을 통한 WSUS 클라이언트 구성
컴퓨터 구성(Computer Configuration)
→ 관리 템플릿(Administrative Templates)
→ Windows 구성 요소(Windows Components)
→ Windows Update
주요 설정:
- 자동 업데이트 구성(Configure Automatic Updates): 사용
- 인트라넷 Microsoft 업데이트 서비스 위치 지정(Specify intranet Microsoft update service location): WSUS 서버 URL 입력
7. Hyper-V 클러스터 환경 패치 전략 – 무중단 서비스 보장
Cluster Aware Updating (CAU) 활용
클러스터 환경에서는 CAU(Cluster Aware Updating)라는 강력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노드 간 다운타임 동기화를 자동화하는 도구입니다.
CAU 설정 단계
- 장애 조치 클러스터 관리자(Failover Cluster Manager) 실행
- 클러스터 선택 후 도구(Tools) → 클러스터 인식 업데이트(Cluster-Aware Updating) 클릭
- 업데이트링 옵션 구성(Configure Updating Options) 선택
- 자동 모드 또는 원격 업데이트 모드 선택
롤링 업데이트 프로세스
- 첫 번째 노드에서 가상머신을 다른 노드로 실시간 마이그레이션
- 첫 번째 노드 패치 적용 및 재시작
- 정상성 확인 후 다음 노드로 진행
- 모든 노드 완료까지 반복
단일 호스트 환경 패치 주의사항
단일 호스트 환경에서는 Windows Server 대신 Hyper-V Server를 관리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것이 패치 적용 빈도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권장 사항:
- 가상머신이 아닌 꼭 필요한 역할과 서비스만 호스트에서 실행
- 정기적인 백업 수행 후 패치 적용
- 패치 적용 전 가상머신 체크포인트 생성
8. 패치 적용 후 검증 방법 – 보안 강화 확인하기
시스템 정보를 통한 패치 확인
Windows 정보 확인
# 명령 프롬프트에서 실행
systeminfo | findstr /B /C:"OS Name" /C:"OS Version" /C:"OS Build"
# 또는 PowerShell에서
Get-ComputerInfo | Select WindowsProductName, WindowsVersion, WindowsBuildLabEx
설치된 업데이트 확인
# 최근 설치된 핫픽스 확인
Get-HotFix | Sort-Object InstalledOn -Descending | Select-Object -First 10
# 특정 KB 확인
Get-HotFix -Id KB5065426
이벤트 로그 모니터링
패치 적용 후 PowerShell Direct 연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와 게스트 VM이 모두 완전히 업데이트되지 않은 경우 Event ID 4625가 보안 이벤트 로그에 기록될 수 있습니다.
확인할 이벤트 로그:
- Windows 로그 → 시스템(System)
- Windows 로그 → 보안(Security)
-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 로그 → Microsoft → Windows → WindowsUpdateClient
9. 알려진 이슈 및 해결방법 – 미리 대비하기
PowerShell Direct 연결 문제
KB5065474 핫패치 업데이트나 KB5065426 보안 업데이트를 설치한 장치에서 호스트와 게스트 VM이 모두 완전히 업데이트되지 않은 경우 PSDirect 연결 실패가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방법:
- 호스트와 게스트 VM 모두 최신 업데이트 적용
- KB5066360 업데이트 추가 설치 권장
MSI 설치 관련 UAC 프롬프트 이슈
8월 2025 Windows 보안 업데이트 설치 후 MSI 복구 작업 중 예상치 못한 UAC 프롬프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과 Autodesk 응용프로그램(AutoCAD 포함) 실행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해결방법:
- 9월 업데이트에서 이 문제가 해결됨
- 특정 앱을 허용목록에 추가하여 UAC 프롬프트 비활성화 가능
10. 지속적인 보안 관리 방안 – 장기적 관점에서의 대응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 관리
월별 패치 주기 관리:
- 매월 둘째 주 화요일: Microsoft Patch Tuesday
- 긴급 패치: 심각한 보안 결함 발견시 즉시 릴리즈
- 예고된 패치: 공지된 일정에 따른 정기 업데이트
모니터링 및 알림 시스템 구축
권장 모니터링 도구:
- Microsoft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상용 솔루션
- Windows Admin Center: 무료 웹 기반 관리 도구
- Azure Monitor: 클라우드 기반 모니터링
- Nagios: 오픈소스 모니터링 솔루션
백업 및 복구 계획
패치 적용 전 반드시 수행해야 할 사항:
- 전체 시스템 백업 수행
- 가상머신 체크포인트 생성
- 중요 설정 및 구성 문서화
- 롤백 계획 수립
CVE-2025-55224는 Hyper-V 환경에서 매우 심각한 보안 위협이지만, Microsoft에서 신속하게 패치를 제공했습니다. 공격 복잡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성공적으로 악용될 경우의 영향이 매우 크므로 즉시 패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요점을 정리하자면:
- 즉시 패치 적용: 2025년 9월 보안 업데이트 설치
- 체계적인 관리: WSUS나 SCCM을 통한 중앙집중식 관리
- 클러스터 환경: CAU를 활용한 무중단 패치 적용
- 지속적인 모니터링: 정기적인 보안 상태 점검
가상화 환경의 보안은 단순히 패치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하고 안정적인 IT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