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시스템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최근 발견된 CVE-2025-55226 그래픽 커널 취약점에 대해 알아두셔야 합니다. 이 취약점은 시스템의 핵심 그래픽 처리 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악용될 경우 시스템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심각한 보안 문제입니다. 다행히 Microsoft에서 이미 해결책을 제공했으며, 이 글에서는 그 원인과 해결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CVE-2025-55226 취약점이란 무엇인가요?

CVE-2025-55226은 Windows 그래픽 커널(Graphics Kernel)에서 발견된 레이스 컨디션(Race Condition) 취약점입니다. 이 취약점은 2025년 9월 Microsoft 패치 튜스데이에서 공개되었으며, CVSS 점수 6.7점의 Critical 등급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레이스 컨디션이란? 레이스 컨디션은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같은 자원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마치 두 사람이 동시에 같은 문을 열려고 할 때 일어나는 충돌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취약점의 특징:

  • 영향 범위: Windows 10, Windows 11, Windows Server 2019, 2022, 2025
  • 악용 조건: 인증된 로컬 사용자 권한 필요
  • 공격 복잡도: 높음 (레이스 컨디션에서 승리해야 함)
  • 사용자 상호작용: 필요 (악성 파일 실행 등)

 

 

2. 어떤 위험이 있나요? 취약점의 영향 분석

이 취약점이 악용되면 다음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수준의 권한 획득

공격자가 커널 컨텍스트에서 코드를 실행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에 대한 완전한 제어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 루트킷 설치: 시스템 깊숙한 곳에 악성코드 은밀히 설치
  • 보안 솔루션 우회: 백신이나 방화벽 같은 보안 프로그램 무력화
  • 데이터 탈취: 시스템 내 모든 파일과 정보에 접근
  • 지속적 공격: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유지되는 공격 기반 구축

특히 위험한 환경

터미널 서버, 공유 데스크톱, VDI 호스팅, 개발자/실습용 머신, 일부 멀티유저 서버 환경에서 가장 큰 위험에 노출됩니다.

 

 

3.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공격 시나리오 이해하기

공격 과정 단계별 분석

1단계: 초기 접근

  • 공격자는 먼저 시스템에 로컬 계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소셜 엔지니어링을 통해 사용자가 악성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
  • 피싱 이메일의 첨부파일이나 악성 링크 활용

2단계: 레이스 컨디션 유발

  • 공격자는 그래픽 서브시스템 자원에 대한 동시 접근을 유도하여 적절한 동기화 없이 공유 커널 자원을 조작
  •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같은 그래픽 자원에 접근하도록 조작

3단계: 커널 권한 획득

  • 레이스 컨디션에서 승리하면 커널 상태를 손상시킬 수 있음
  • 이를 통해 커널 모드에서 임의 코드 실행 가능

 

 

4. 내 시스템이 취약한지 확인하는 방법

Windows 버전 확인하기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Run) 창을 열고 winver를 입력하세요.

다음 버전들이 취약합니다:

  • Windows 10 (모든 버전)
  • Windows 11 (모든 버전)
  • Windows Server 2019, 2022, 2025

설치된 업데이트 확인하기

  1. 설정(Settings)업데이트 및 보안(Update & Security)Windows Update로 이동
  2. 업데이트 기록 보기(View update history) 클릭
  3. 다음 KB 번호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 Windows 11 24H2: KB5065426
    • Windows 11 23H2: KB5065431
    • Windows 10: KB5065429
    • Windows Server 2025: KB5065426
    • Windows Server 2022 (21H2/22H2): KB5065432
    • Windows Server 2022 23H2: KB5065425
    • Windows Server 2019: KB5065427
    • Windows Server 2016: KB5065427

PowerShell을 이용한 확인 방법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실행하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Get-HotFix | Where-Object {$_.HotFixID -match "KB5065426|KB5065431|KB5065429|KB5065432|KB5065425|KB5065427"}

 

 

5. 패치 적용 방법 – 단계별 가이드

자동 업데이트를 통한 패치 (권장)

Windows 11 사용자

  1. 설정(Settings) 앱 열기 (Windows 키 + I)
  2. Windows Update 선택
  3. 업데이트 확인(Check for updates) 클릭
  4. 다운로드 및 설치(Download and install) 클릭
  5. 설치 완료 후 지금 다시 시작(Restart now) 클릭

Windows 10 사용자

  1. 설정(Settings)업데이트 및 보안(Update & Security)
  2. Windows Update업데이트 확인(Check for updates)
  3. 자동으로 KB5065429 다운로드 및 설치
  4. 재부팅 진행

수동 다운로드를 통한 패치

Microsoft Update Catalog에서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1. Microsoft Update Catalog 방문
  2. 해당 KB 번호 검색:
    • Windows 11 24H2: KB5065426
    • Windows 11 23H2: KB5065431
    • Windows 10: KB5065429
    • Windows Server 2025: KB5065426
    • Windows Server 2022 (21H2/22H2): KB5065432
    • Windows Server 2022 23H2: KB5065425
    • Windows Server 2019: KB5065427
    • Windows Server 2016: KB5065427
  3. 시스템 아키텍처(x64, x86, ARM64)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
  4. 다운로드한 .msu 파일 더블클릭하여 설치

기업 환경에서의 패치 관리

WSUS(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활용

  1. WSUS 관리 콘솔에서 업데이트(Updates)모든 업데이트(All Updates) 선택
  2. CVE-2025-55226 관련 업데이트 승인
  3.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배포

SCCM(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 활용

  1.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Software Library)소프트웨어 업데이트(Software Updates)
  2. 업데이트 패키지 생성 및 배포 그룹 설정
  3. 단계적 배포 계획 수립

 

 

6. Windows Server 패치 관리

서버별 KB 번호 및 설치 방법

Windows Server 2025

  • KB 번호: KB5065426
  • 설치 방법: Windows 11 24H2와 동일한 과정

Windows Server 2022

Windows Server 2019

  • KB 번호: KB5065427
  • Windows 10 2016 LTSC와 공유

Windows Server 2016

  • KB 번호: KB5065427
  • Windows Update 및 WSUS를 통해 제공

Server Core 설치 환경

GUI가 없는 Windows Server Core 환경에서의 패치 적용:

현재 버전 확인

Get-ComputerInfo | Select-Object WindowsProductName, WindowsVersion, TotalPhysicalMemory

PowerShell을 통한 업데이트 설치

# PSWindowsUpdate 모듈이 없는 경우 설치
Install-Module PSWindowsUpdate -Force

# 사용 가능한 업데이트 확인
Get-WUList

# 특정 KB 업데이트 설치
Install-WindowsUpdate -KBArticleID "KB5065432" -AcceptAll -AutoReboot

Server Core용 수동 설치

# DISM을 통한 다운로드 및 설치
dism /online /add-package /packagepath:"C:\temp\KB5065432.msu"

클러스터 환경 패치 적용

장애 조치 클러스터(Failover Cluster)의 경우

  1. 클러스터 노드 준비: 모든 노드가 정상 상태인지 확인
  2. 클러스터 노드 일시 중지: Suspend-ClusterNode -Name 노드명
  3. 패치 적용: 일시 중지된 노드에 KB 업데이트 설치
  4. 재개 및 장애 조치: Resume-ClusterNode -Name 노드명
  5. 나머지 노드 반복: 한 번에 하나씩 진행

클러스터 인식 업데이트(CAU) 사용

# CAU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활성화
Add-CauClusterRole -ClusterName "클러스터명" -MaxFailedNodes 1

# CAU 스캔 실행
Invoke-CauScan -ClusterName "클러스터명"

# 업데이트 적용
Invoke-CauRun -ClusterName "클러스터명" -Force

Hyper-V 호스트 고려사항

실시간 마이그레이션 전제 조건

  • 클러스터 내 모든 Hyper-V 호스트가 패치되어야 함
  • 유지보수 기간 중 VM 마이그레이션 계획
  • 대상 호스트의 충분한 리소스 확인

최소 다운타임 전략

  1. 패치할 호스트에서 VM을 다른 호스트로 실시간 마이그레이션
  2. 보안 업데이트 적용
  3. 필요시 호스트 재시작
  4. 확인 후 VM을 다시 마이그레이션

 

 

7. 패치 적용 후 확인사항

업데이트 설치 확인

패치 적용 후 다음 방법으로 설치를 확인하세요:

방법 1: 시스템 정보 확인

  1. Windows 키 + R → msinfo32 입력
  2. **시스템 요약(System Summary)**에서 OS 버전 확인
  3. 최신 빌드 번호가 표시되는지 확인

방법 2: 이벤트 로그 확인

  1. 이벤트 뷰어(Event Viewer) 실행
  2. Windows 로그(Windows Logs)시스템(System)
  3. 설치 관련 이벤트 ID 43, 44 확인

시스템 안정성 확인

패치 적용 후 다음 사항들을 점검하세요:

  • 그래픽 성능: 게임이나 그래픽 집약적 애플리케이션 정상 작동 확인
  • 드라이버 호환성: GPU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애플리케이션: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의 정상 작동 여부

 

 

8. 추가 보안 강화 방안

시스템 수준 보안 강화

Virtualization-based Security (VBS) 활성화

  1. 그룹 정책 편집기(gpedit.msc) 실행
  2. 컴퓨터 구성관리 템플릿시스템Device Guard
  3. 가상화 기반 보안 사용 정책 활성화

Hypervisor-protected Code Integrity (HVCI) 활성화

  1. Windows 보안(Windows Security) 앱 실행
  2. 장치 보안(Device Security)코어 격리(Core Isolation)
  3. 메모리 무결성(Memory Integrity) 활성화

네트워크 보안 설정

SMB 서명 활성화 (CVE-2025-55234 관련 추가 보안)

#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Set-SmbServerConfiguration -RequireSecuritySignature $true -Force
Set-SmbClientConfiguration -RequireSecuritySignature $true -Force

 

 

9. 문제 해결 가이드

패치 설치 실패 시 대처방법

오류 코드별 해결책

오류 코드 원인 해결 방법
0x80070020 파일 사용 중 세이프 모드에서 재시도
0x8007000D 손상된 다운로드 캐시 폴더 정리 후 재다운로드
0x80240017 서비스 문제 Windows Update 서비스 재시작

Windows Update 문제 해결사 실행

  1. 설정업데이트 및 보안문제 해결
  2. Windows Update 문제 해결사 실행
  3. 자동 진단 및 수정 적용

호환성 문제 해결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애플리케이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1. 호환성 모드로 실행 시도
  2.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3. 제조사에 호환성 패치 문의

 

 

CVE-2025-55226은 Windows 시스템의 핵심 그래픽 처리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보안 취약점입니다. Microsoft에서 2025년 9월 패치 튜스데이를 통해 해결책을 제공했으며, 해당 업데이트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보안 방법입니다.

특히 기업 환경에서는 단계적 패치 적용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신속한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 사용자의 경우 자동 업데이트를 활성화하여 이런 중요한 보안 패치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