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보셨을 겁니다. “한국에서는 한글로 잘 노출되는데, 왜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영어 버전이 안 보이지?” 또는 “미국 교포들에게는 한글로 보여주고 싶은데, Google(구글)이 영어 버전만 보여주네?”

저도 IT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똑같은 문제로 몇 달을 고민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분명 영어 버전도 만들어 놨는데, 구글 검색 결과에는 한글 버전만 떴죠. 이 문제의 핵심은 바로 hreflang 태그 설정에 있었습니다.

오늘은 다국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각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언어로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방법을 실제 제 경험을 바탕으로 자세히 알려드려 보겠습니다.

 

 

1. 왜 다국어 블로그(한글/영어)를 만들었는데 제대로 노출이 안 될까?

“분명 영어 버전도 만들어 놨는데, 미국에서 검색하면 왜 안 나오지?”

다국어 블로그를 운영하는 많은 분들이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실 겁니다. 저도 처음 IT 블로그를 한영 이중 언어로 만들었을 때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한글 포스트가 잘 노출되는데, 미국 친구에게 확인해보니 한글 버전만 보인다는 거예요.

문제는 단순히 번역본을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구글 같은 검색엔진은 사용자의 언어와 위치를 파악해서 가장 적합한 버전의 페이지를 보여주는데, 우리가 그걸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으면 구글도 헷갈립니다.

바로 이때 필요한 것이 hreflang 태그입니다. 오늘은 워드프레스 블로그에서 이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실제로 제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배운 내용들을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2. Google(구글)은 어떻게 언어와 지역을 판단할까?

먼저 구글이 어떤 기준으로 사용자를 판단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구글은 주로 IP 주소를 1순위로 사용하고, 그다음 브라우저의 언어 설정을 2순위로 고려합니다.

실제 예를 들어볼까요?

시나리오 1: 서울에서 한국어 브라우저로 접속

  • IP 주소: 한국 ✓
  • 브라우저 언어: 한국어 ✓
  • 결과: 한글 콘텐츠 노출 (완벽!)

시나리오 2: 뉴욕에서 한국어 브라우저로 접속 (재미동포)

  • IP 주소: 미국
  • 브라우저 언어: 한국어 ✓
  • 결과: 설정에 따라 달라짐

시나리오 3: 서울에서 영어 브라우저로 접속

  • IP 주소: 한국 ✓
  • 브라우저 언어: 영어
  • 결과: 구글이 판단

이렇게 복잡한 상황들이 생기기 때문에, 우리가 명확한 신호를 줘야 합니다.

 

 

3. hreflang 태그란 무엇인가?

hreflang 태그는 검색엔진에게 특정 웹페이지가 어떤 언어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지 알려주는 HTML 속성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이 페이지는 한국어를 쓰는 사람들을 위한 거예요” 또는 “이 페이지는 미국에 있는 영어 사용자를 위한 거예요”라고 구글에게 알려주는 표지판 같은 거죠.

웹브라우저(Google Chrome의 경우) F12를 누르면 보통 개발자도구가 열리는데, 들어가서 Elements 항목의 <head> </head>안에서 hreflang 태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reflang-example

hreflang 태그의 실제 모습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x-default">

이 코드가 페이지의 <head> 섹션에 들어갑니다.

중요한 사실: hreflang은 신호일 뿐!

hreflang은 신호(signal)이지 명령(directive)이 아닙니다. 다른 SEO 요인들이 hreflang 속성을 무시하고 다른 버전의 페이지를 더 높게 랭킹시킬 수 있습니다.

즉, hreflang 설정을 완벽하게 해도 콘텐츠 품질이 낮거나 백링크가 없으면 노출이 잘 안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4. 언어 코드 vs 지역 코드: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이겁니다. ko만 쓸까요, 아니면 ko-kr을 쓸까요?

언어 코드만 사용하는 경우 (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 hreflang="ko">

대상:

  • 한국에 있는 사람들 ✓
  • 미국에 있는 한국어 사용자 (교포) ✓
  • 중국 조선족 (한국어 브라우저 설정) ✓
  • 일본 재일동포 (한국어 브라우저) ✓

전 세계 어디에 있든 한국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을 타겟합니다.

지역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ko-kr)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 hreflang="ko-kr">

대상:

  • 한국에 있는 사람들 ✓
  • 미국에 있는 한국어 사용자 ✗
  • 중국 조선족 ✗

오직 한국 IP 주소를 가진 사용자만 타겟합니다.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제 경험상, 대부분의 경우 언어 코드만 사용 (ko, en)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1. 전 세계 한국어 사용자들에게 한글 콘텐츠를 보여줄 수 있어요
  2. 설정이 간단합니다
  3. 대부분의 블로거들이 원하는 결과입니다

만약 “딱 한국에 있는 사람들만” 타겟하고 싶다면 ko-kr을 사용하세요.

 

 

5. 워드프레스에서 hreflang 설정하는 3가지 방법

워드프레스에서 hreflang 태그를 추가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다국어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플러그인들은 기술적인 부분을 자동으로 처리해줍니다.

방법 1: Polylang 플러그인 (추천!)

Polylang은 무료이면서도 강력한 플러그인입니다. 다국어 사이트를 설정하면 hreflang 태그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설치 방법:

  1.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 플러그인 → 새로 추가
  2. “Polylang” 검색 후 설치 및 활성화
  3. 설정 → Languages 메뉴로 이동
  4. 사용할 언어 추가 (한국어, 영어 등)

60만 건 이상 다운로드된 Polylang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국어 플러그인 중 하나입니다.

장점:

  • 완전 무료
  • hreflang 자동 생성
  •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단점:

  • 무료 버전은 공식 지원이 없음

방법 2: WPML 플러그인

WPML은 가장 인기 있는 워드프레스 다국어 플러그인입니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하고 콘텐츠를 번역하면 WPML이 자동으로 hreflang 태그를 삽입하고 업데이트합니다.

특징:

  • 모든 WPML 플랜에 자동 hreflang 관리 포함
  • 프리미엄 지원
  • 지역별 타겟팅을 위한 커스텀 언어 생성 가능

예를 들어, 캐나다 프랑스어 사용자를 타겟하고 싶다면 hreflang="fr-ca" 설정 가능합니다.

단점:

  • 유료 (연간 구독)

방법 3: Hreflang Manager 플러그인 (전문가용)

Hreflang Manager는 워드프레스에서 hreflang을 구현하는 쉽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누구에게 적합할까?

  • 다국어 플러그인 없이 hreflang만 추가하고 싶은 경우
  • 여러 도메인에 걸쳐 hreflang 설정이 필요한 경우
  • 언어 스크립트 변형까지 지원이 필요한 경우

이것은 언어 코드, 스크립트 코드, 언어 코드 등 모든 가능한 코드로 hreflang만 설정할 수 있는 전문 도구입니다.

 

 

6. 실전 예제: 한영 이중언어 블로그 설정하기

제 블로그를 예로 들어 실제 설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영문 포스트의 hreflang 설정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fedora-linux-security/"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fedora-linux-security/" hreflang="en">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fedora-linux-security/" hreflang="x-default">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fedora-linux-security/">

한글 포스트의 hreflang 설정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fedora-linux-security/"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fedora-linux-security/" hreflang="en">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fedora-linux-security/" hreflang="x-default">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it-server-room.com/fedora-linux-security/">

x-default는 뭔가요?

x-default 태그는 사용자의 언어가 지원되지 않을 때 표시할 기본 페이지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어 사용자가 접속했는데 일본어 버전이 없다면? x-default에 지정된 페이지(보통 영어)를 보여줍니다.

x-default hreflang은 선택사항이지만, 구글은 일치하는 언어가 없을 때 페이지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를 권장합니다.

 

 

7.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규칙들

hreflang 태그는 쌍으로 제공됩니다. 원본 웹페이지에 다른 언어 버전을 가리키는 hreflang 태그가 있다면, 그 다른 버전 페이지도 원본을 가리키는 hreflang 태그가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링크를 리턴 링크 또는 양방향 링크라고 합니다.

규칙 1: 양방향 링크 (필수!)

모든 페이지는 서로를 참조해야 합니다.

잘못된 예:

<!-- 한글 페이지 -->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 영문 페이지에는 아무것도 없음 ❌ -->

올바른 예:

<!-- 한글 페이지 -->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 영문 페이지 -->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규칙 2: 자기 참조 태그 포함하기

모든 페이지는 타겟 언어와 지역을 나타내는 자기 참조 hreflang 태그를 포함해야 합니다.

영문 페이지에도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hreflang="en" 태그가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규칙 3: Canonical 태그와 함께 사용하기

hreflang 태그에는 항상 canonical URL을 사용하세요. Canonical URL은 검색엔진이 색인화할 권위 있는 버전으로 지정된 웹페이지의 주요 주소입니다.

<!-- 올바른 예 -->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it-server-room.com/article/">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article/" hreflang="ko">

Canonical-example

규칙 4: 정확한 언어 코드 사용하기

언어 코드는 ISO 639-1 형식을 사용하고, 지역 코드는 ISO 3166-1 Alpha 2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주의할 점:

  • en_US ❌ → en-US ✓ (밑줄이 아닌 대시)
  • EN ❌ → en ✓ (소문자)
  • uk (우크라이나) vs gb (영국) – 헷갈리지 마세요!

 

 

8. 설정 후 검증하는 방법

hreflang을 설정했다면, 제대로 작동하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검증 도구들이 체크하는 주요 오류들을 먼저 이해하고, 그다음 도구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hreflang 검증 도구가 체크하는 주요 오류들

검증 도구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자동으로 찾아냅니다:

1. 비정상 HTTP 응답 (Non-200 Response)

  • 404 에러: hreflang에 지정된 URL이 존재하지 않음
  • 301/302 리디렉션: 최종 URL이 아닌 리디렉션 URL을 사용
  • 5xx 서버 에러: 서버 문제로 접근 불가

2. 리턴 태그 누락 (Missing Return Tags) 가장 흔한 오류입니다. 한글 페이지가 영문 페이지를 가리키는데, 영문 페이지는 한글 페이지를 가리키지 않는 경우죠.

3. 자기 참조 누락 (Missing Self-Reference) 각 페이지는 자기 자신도 hreflang 목록에 포함해야 합니다.

4. 잘못된 언어/지역 코드

  • en_US 대신 en-US 사용해야 함
  • uk (우크라이나) vs gb (영국) 혼동
  • 존재하지 않는 ISO 코드 사용

5. 중복된 hreflang 항목 같은 페이지에 동일한 언어 코드가 두 번 나타나는 경우

6. x-default 누락 필수는 아니지만, 권장사항입니다.

7. Canonical 충돌 hreflang 태그가 있는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를 canonical로 가리키는 경우

방법 1: TechnicalSEO.com hreflang Testing Tool (무료, 추천!)

가장 사용하기 쉬운 도구입니다. URL 하나만 입력하면 즉시 결과를 보여줍니다.

사용 방법:

  1. https://technicalseo.com/tools/hreflang/ 접속
  2. 확인하고 싶은 URL 입력
  3. 검색엔진 선택 (Googlebot 선택)
  4. “Check” 버튼 클릭

결과 해석: 도구는 표 형식으로 결과를 보여줍니다:

컬럼 의미
Status HTTP 상태 코드 (200이어야 정상)
hreflang 언어/지역 코드
Alternate URL 대체 URL
Return Tag 양방향 링크 확인 (self-referencing 표시되면 정상)
Indexable 검색엔진이 색인 가능한지 여부
Error 발견된 오류 (비어있으면 정상)

초록색 체크 표시가 나타나면 설정이 완벽한 겁니다!

빨간색 경고가 나타나면:

  • 어떤 URL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
  • Error 컬럼에서 구체적인 문제 파악
  • 해당 페이지로 가서 수정
https://technicalseo.com/tools/hreflang/
https://technicalseo.com/tools/hreflang/ : 한글 페이지 테스트 결과

 

https://technicalseo.com/tools/hreflang/-en
https://technicalseo.com/tools/hreflang/ : 영문 페이지 테스트 결과

 

방법 2: Google Search Console (무료)

구글은 페이지의 hreflang 태그를 계속 지원하고 사용합니다. 다만 Search Console의 국가 타겟팅 기능을 사용한 검색 결과 타겟팅 기능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습니다.

참고: 2025년 현재 International Targeting 리포트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대신 할 수 있는 것:

  1. Google Search Console → URL 검사 도구
  2. 확인하고 싶은 URL 입력
  3. “실시간 테스트” 클릭
  4. 페이지 소스에서 hreflang 태그 확인
  5. “색인 생성된 페이지 보기” 클릭해서 구글이 실제로 본 내용 확인

방법 3: 기타 무료 검증 도구

hreflang.org Validator

  • 여러 URL을 한 번에 테스트 가능
  • 상세한 오류 설명 제공
  • Excel로 결과 내보내기 가능

SISTRIX hreflang Checker

  • 하루 25회 무료 쿼리 제공
  • 간단한 인터페이스
  • 양방향 링크 자동 확인

Weglot Hreflang Checker

  • 여러 검색엔진 선택 가능 (Google, Bing, Yandex 등)
  • 직관적인 결과 표시
  • 추가 가입 없이 바로 사용 가능

방법 4: Screaming Frog SEO Spider (유료/무료)

사이트 전체를 한 번에 검사하고 싶다면 이 도구가 최고입니다.

장점:

  • 수백, 수천 개의 페이지를 한 번에 크롤링
  • 일반적인 오류를 자동으로 분류
  • Excel로 상세 리포트 내보내기
  • XML Sitemap의 hreflang도 검사 가능

주요 체크 항목:

  • Non-200 Hreflang URLs: 404나 리디렉션 URL 찾기
  • Unlinked Hreflang URLs: 내부 링크가 없는 hreflang URL
  • Missing Return Links: 양방향 링크가 안 된 페이지

사용 팁:

  1. Configuration → Spider → Crawling → “Check hreflang” 활성화
  2. 크롤링 시작
  3. Hreflang 탭에서 오류 확인
  4. Filters로 특정 오류만 보기

검증은 언제, 얼마나 자주 해야 할까?

처음 설정 후: 즉시 검증 정기 점검: 한 달에 한 번 새 콘텐츠 추가 후: 일주일 내 검증 사이트 구조 변경 후: 즉시 검증

실전 팁: 검증 체크리스트

제가 실제로 사용하는 체크리스트입니다:

□ 모든 언어 버전의 URL이 200 응답을 반환하는가?
□ 한글 페이지가 영문 페이지를 가리키는가?
□ 영문 페이지가 한글 페이지를 가리키는가?
□ 각 페이지가 자기 자신을 참조하는가?
□ 언어 코드가 ISO 표준을 따르는가? (ko, en, en-US)
□ x-default가 설정되어 있는가?
□ Canonical 태그가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가?
□ 모든 URL이 일관된 형식인가? (슬래시 포함 여부)

이 체크리스트를 스프레드시트에 만들어두고, 새 포스트를 발행할 때마다 확인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9. 흔히 하는 실수와 해결 방법

374,756개 도메인에 대한 hreflang 연구에서 67%의 hreflang 구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말 많은 사이트가 hreflang을 잘못 설정하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겪은 실수들을 공유합니다.

실수 1: 리턴 태그 누락

가장 흔한 실수입니다.

문제:

<!-- 한글 페이지 -->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 영문 페이지 -->
<!-- 아무 hreflang 태그도 없음! ❌ -->

해결: 양방향으로 링크해야 합니다. 영문 페이지에도 한글 페이지를 가리키는 태그가 필요합니다.

실수 2: 잘못된 언어 코드

<!-- 잘못된 예 -->
<link rel="alternate" href="..." hreflang="en_US"> ❌
<link rel="alternate" href="..." hreflang="EN"> ❌

<!-- 올바른 예 -->
<link rel="alternate" href="..." hreflang="en-US"> ✓
<link rel="alternate" href="..." hreflang="en"> ✓

실수 3: Canonical과 hreflang 충돌

<!-- 잘못된 예 -->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ko/" hreflang="ko">

모든 페이지의 canonical이 영문 페이지를 가리키면 안 됩니다! 각 언어 버전은 자기 자신을 canonical로 설정해야 합니다.

실수 4: 리디렉션되는 URL 사용

IP 지오로케이션이나 쿠키를 기반으로 한 자동 리디렉션은 봇이 모든 페이지를 크롤링하고 액세스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문제:

  • hreflang에서 /de/ URL을 지정했는데
  • 실제로는 /de-DE/로 리디렉션됨

해결: hreflang에는 최종 리디렉션된 URL을 직접 넣어야 합니다.

실수 5: 트레일링 슬래시 불일치

http://www.example.com/de와 http://www.example.com/de/는 기술적으로 두 개의 별도 URL입니다. 구글은 이들을 두 개의 별도 페이지로 취급합니다.

일관성 유지:

<!-- 모든 URL에 슬래시 있음 -->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ko/"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또는

<!-- 모든 URL에 슬래시 없음 -->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ko" hreflang="ko">
<link rel="alternate" href="https://www.it-server-room.com/en" hreflang="en">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일관되게 사용하세요.

 

 

10. hreflang만으로 충분할까? 영미권 노출을 위한 추가 팁

솔직히 말씀드리면, hreflang 설정만으로는 영미권에서 높은 랭킹을 얻기 어렵습니다.

hreflang 속성은 검색엔진이 사용자에게 가장 관련성 높은 버전을 표시하도록 도울 수 있지만, 구글은 검색 쿼리에 대한 웹페이지의 관련성을 결정할 때 다른 SEO 요인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추가 작업들

1. 영어 콘텐츠 품질 향상

  • 단순 번역 ❌ → 영미권 독자를 위한 재작성 ✓
  • 한국식 표현 피하기
  • 원어민 검토 받기

2. 영미권 키워드 리서치

  • Google Keyword Planner에서 미국 위치 설정
  • 실제 검색량 있는 키워드 타겟팅
  • 한국에서 인기 있는 키워드 ≠ 미국에서 인기 있는 키워드

3. 영어권 사이트에서 백링크 얻기

  • Reddit 관련 서브레딧에서 활동
  • StackOverflow, GitHub에서 콘텐츠 공유
  • 영어 블로그 게스트 포스팅

4. 인내심 가지기

알고리즘 업데이트 전까지는 변화가 없다가, 업데이트 후 갑자기 구글이 당신의 노력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최소 2-6개월은 기다려야 합니다.

 

 

11. 자주 묻는 질문 (FAQ)

Q1: hreflang 설정을 하면 즉시 효과가 나타나나요?

아니요. 구글이 페이지를 다시 크롤링하고 색인화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보통 2주에서 한 달 정도 소요됩니다.

Q2: 모든 페이지에 hreflang을 추가해야 하나요?

hreflang 속성을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 적용하세요. 부분적인 설정은 검색엔진에 혼란을 주고 다른 버전 간의 관계를 약화시킵니다.

네, 번역된 모든 페이지에 추가해야 합니다.

Q3: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없이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나요?

header.php 파일을 편집하여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지만, 테마를 업데이트하면 변경 사항이 사라지므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가능하지만 플러그인 사용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Q4: hreflang과 canonical 태그를 함께 사용해도 되나요?

네, 반드시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각 언어 버전은 자기 자신을 canonical로 설정하고, 다른 언어 버전들을 hreflang로 연결해야 합니다.

Q5: 자동 번역 도구로 만든 콘텐츠에도 hreflang을 사용할 수 있나요?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자동 번역된 저품질 콘텐츠는 SEO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구글은 품질 낮은 번역 콘텐츠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12. 마지막으로 간단히 정리하면…

다국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각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언어로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것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하지만 오늘 설명드린 hreflang 설정을 제대로 하면, 구글이 여러분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버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핵심만 요약하면:

  1. 언어 코드만 사용 (ko, en)하면 전 세계 해당 언어 사용자 타겟
  2. Polylang이나 WPML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hreflang 생성
  3. 양방향 링크를 꼭 설정하고, 각 페이지는 자기 자신도 참조
  4. 검증 도구로 반드시 확인
  5. hreflang만으로는 부족하고, 콘텐츠 품질과 백링크도 함께 작업해야 함

처음에는 복잡해 보이지만, 한 번 제대로 설정해두면 계속 작동합니다. 저와 여러분의 블로그가 전 세계 독자들에게 검색 노출되고 또한 애드센스 수익도 많이 났으면 좋겠네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