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 서버(Windows Server)를 운영하는 IT 담당자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라이센스(License) 비용과 지원 종료 일정(EOS)이죠. 특히 최근 Windows Server 2025가 출시되면서 기존 버전들의 마이그레이션 계획을 세우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복잡한 윈도우즈 서버 라이센스 정책부터 시작해 윈도우즈 서버 버전별 지원 종료 일정, EOS/EOL 개념, ESU 프로그램까지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모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EOS vs EOL vs ESU – 헷갈리는 용어 정리부터
EOS (End of Support) – 지원 종료
EOS는 기술 지원 종료를 의미합니다. Microsoft가 해당 제품에 대한 다음 서비스를 중단하는 시점입니다:
- 보안 업데이트 및 패치 제공 중단
- 기술 지원 서비스 종료
- 새로운 기능 개발 중단
중요한 점: 제품 자체는 계속 작동하지만, 보안 위험에 노출됩니다.
EOL (End of Life) – 제품 수명 종료
EOL은 제품 생명주기의 완전한 종료를 의미합니다:
- 제품 판매 완전 중단
- 라이센스 구매 불가
- 모든 형태의 지원 중단
일반적으로 EOS 이후에 EOL이 따라오며, Microsoft는 주로 EOS 용어를 사용합니다.
ESU (Extended Security Updates) – 확장 보안 업데이트
ESU는 EOS 이후에도 유료로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ESU 프로그램의 특징:
- 최대 3년간 추가 보안 업데이트 제공
- 중요(Critical) 및 중요(Important) 보안 패치만 포함
- 새로운 기능이나 일반 업데이트는 제외
- 기술 지원은 별도 계약 필요
ESU 가격 정책:
- 매년 가격이 2배씩 증가 (예: 1년차 $61 → 2년차 $122 → 3년차 $244)
- Azure 환경에서는 무료 제공
- 볼륨 라이센싱을 통해서만 구매 가능
2. 윈도우즈 서버 라이센스 정책의 핵심 이해
코어 기반 라이센싱 모델의 기본 원리
Microsoft는 Windows Server 2016부터 코어 기반 라이센싱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서버의 물리적 CPU 코어 수를 기준으로 라이센스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과거의 프로세서 기반 라이센싱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법입니다.
핵심 원칙:
- 물리적 코어 1개당 라이센스 1개 필요
- 프로세서당 최소 8개 코어 라이센스 필요
- 서버당 최소 16개 코어 라이센스 필요
- 라이센스는 2개 또는 16개 팩 단위로 판매
Standard vs Datacenter 에디션 비교
구분 | Standard | Datacenter |
---|---|---|
가상화 권한 | OSE 2개 또는 Hyper-V 컨테이너 2개 | 무제한 가상화 |
라이센싱 방식 | Per Core/CAL | Per Core/CAL |
주요 대상 | 저밀도/비가상화 환경 | 고밀도 가상화 환경 |
특별 기능 | 기본 Windows Server 기능 | SDDC, Storage Spaces Direct 등 |
Standard 에디션은 VM이 2개를 초과할 경우 추가 코어 라이센스가 필요하지만, Datacenter 에디션은 무제한 가상화가 가능합니다.
3. 2025년 최신 라이센싱 변화사항
Windows Server 2025의 새로운 특징
2024년 11월 1일에 출시된 Windows Server 2025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Azure Arc 기본 통합: 기본적으로 Azure Arc 설정이 포함되어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환경 구축이 더욱 용이해졌습니다
- 새로운 종량제 옵션: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사용량 기반 요금제 선택 가능
- 향상된 보안: TPM 2.0과 UEFI는 권장사항으로 변경 (필수 아님)
종량제(Pay-as-you-go) 라이센싱 도입
Windows Server 2025는 새로운 클라우드 빌링 옵션을 제공하여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걸쳐 종량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이는 VM 확장 시 비용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옵션입니다.
4. 버전별 지원 종료(EOS/EOL) 완벽 정리
Windows Server 버전별 EOS/EOL 일정표
버전 | 출시일 | 메인스트림 지원 종료 | 확장 지원 종료 | ESU 가능 여부 | ESU 종료일 |
---|---|---|---|---|---|
Windows Server 2025 | 2024년 11월 1일 | 2029년 10월 9일 | 2034년 10월 10일 | 미정 | – |
Windows Server 2022 | 2021년 8월 18일 | 2026년 10월 14일 | 2031년 10월 14일 | 예상 | – |
Windows Server 2019 | 2018년 11월 13일 | 2024년 1월 9일 | 2029년 1월 9일 | 예 | 2032년 1월 |
Windows Server 2016 | 2016년 10월 12일 | 2022년 1월 11일 | 2027년 1월 12일 | 예 | 2030년 1월 |
Windows Server 2012 R2 | 2013년 11월 25일 | 2018년 10월 9일 | 2023년 10월 10일 | 예 | 2026년 10월 13일 |
참조: Microsoft Product Lifecycle, endoflife.date
EOS가 임박한 버전들의 마이그레이션 우선순위
긴급 (2026년):
- Windows Server 2012 R2 ESU 종료 예정 – 즉시 마이그레이션 계획 수립 필요
- Windows Server 2022 메인스트림 지원 종료
주의 (2027년):
- Windows Server 2016 확장 지원 종료
- 2025년부터 마이그레이션 준비 시작 권장
5. Windows Server 관리자를 위한 라이센스 계산 방법
물리 서버 라이센스 계산 실례
예시 1: 20코어 물리 서버
서버 스펙: 듀얼 CPU (각 10코어) = 총 20코어
필요 라이센스: 20개 (코어당 1개)
구매 단위: 16개 팩 1개 + 2개 팩 2개 = 20개
예시 2: 가상화 환경 계산 Standard 에디션에서 VM이 2개를 초과할 경우, VM 2개가 추가될 때마다 서버의 모든 코어에 대한 라이센스를 다시 획득해야 합니다.
20코어 서버에 VM 6개 구축 시:
- 기본 20개 라이센스 (VM 2개분)
- 추가 40개 라이센스 (VM 4개분 = 2세트)
- 총 필요 라이센스: 60개
CAL(Client Access License) 요구사항
Windows Server Standard와 Datacenter 에디션은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든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대해 Windows Server CAL이 필요합니다.
CAL 종류:
- User CAL: 사용자당 1개 (여러 디바이스 사용 시 유리)
- Device CAL: 디바이스당 1개 (여러 사용자 공용 시 유리)
6. ESU (확장 보안 업데이트) 프로그램 상세 가이드
ESU 프로그램 개요
ESU 프로그램은 지원이 종료된 Microsoft 제품에 대해 최대 3년간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ESU 포함 사항:
- Microsoft Security Response Center(MSRC) 정의 “중요” 및 “심각” 보안 업데이트
- 월별 보안 패치 제공
- Azure 환경에서는 무료 제공
ESU 미포함 사항:
- 새로운 기능이나 개선사항
- 일반적인 기능 업데이트
- 디자인 변경 요청
- 기술 지원 (별도 계약 필요)
ESU 가격 정책 및 구매 방법
가격 구조:
- 1년차: 기본 가격
- 2년차: 1년차 대비 2배
- 3년차: 1년차 대비 4배
구매 방법:
- Microsoft 볼륨 라이센싱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구매 가능
- Software Assurance 또는 활성 서버 구독 필요
- Azure Arc를 통한 간편한 관리 가능
Azure에서의 ESU 혜택
무료 ESU 제공 환경:
- Azure Virtual Machines
- Azure VMware Solution
- Azure Stack HCI
- Azure Stack Hub
- Nutanix Cloud Clusters on Azure
7.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과 하이브리드 혜택
Azure 하이브리드 혜택 활용법
Azure 하이브리드 혜택을 통해 기존 온프레미스 라이센스를 Azure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Software Assurance가 포함된 16개의 Windows Server 코어 라이센스 집합 각각은 두 대 이하의 Azure 가상 머신에 할당된 최대 16개의 가상 코어에서 Microsoft Azure의 Windows Server를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합니다.
실제 절약 효과:
- 온프레미스에서 Azure로 이전 시 Windows 라이센스 비용 절약
- Datacenter 에디션은 이중 사용 권한 제공
유연한 가상화 혜택 (Flexible Virtualization Benefit)
2022년 10월부터 도입된 새로운 혜택으로, 승인된 아웃소싱 업체의 서버(공유 또는 전용)에 적격 라이센스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8. 마이그레이션 전략 및 주의사항
단계별 마이그레이션 계획
1단계: 현황 분석 (1-2개월)
- 현재 서버 인벤토리 작성
- 라이센스 현황 파악
- 애플리케이션 호환성 검토
2단계: 우선순위 결정 (1개월)
- EOS 임박 서버 우선 식별
- 비즈니스 중요도 평가
- 예산 계획 수립
3단계: 파일럿 테스트 (2-3개월)
- 비중요 시스템부터 테스트
- 성능 및 호환성 검증
- 문제점 사전 해결
4단계: 본격 마이그레이션 (6-12개월)
- 단계적 서버 업그레이드
- 데이터 백업 및 복구 계획
- 사용자 교육 및 지원
비용 최적화 전략
라이센스 비용 절감 방안:
- 서버 통합으로 라이센스 수량 최소화
- Datacenter 에디션의 무제한 가상화 활용
- Azure 하이브리드 혜택 적극 활용
- 사용량 기반 종량제 검토
9. 유용한 참고 링크 모음
Microsoft 공식 문서
유용한 도구 및 리소스
윈도우즈 서버의 라이센스 정책과 EOS 일정은 IT 인프라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2025년은 Windows Server 2012 R2의 ESU 마감이 다가오고 새로운 2025 버전이 출시되어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해입니다. EOS와 EOL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ESU 프로그램을 통한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기술적 업그레이드를 넘어 비즈니스 연속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죠.
이번 포스트에서 정리해드린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분의 조직에 맞는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ESU 프로그램의 가격 정책과 Azure 환경에서의 무료 혜택을 잘 활용하신다면, 보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서버 환경을 운영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