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서 “중복 페이지, Google에서 사용자와 다른 표준을 선택함”이라는 메시지를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처음 보면 당황스럽지만, 사실 이는 구글이 여러분의 사이트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오늘은 이 문제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알아야 할 기본 개념 – 표준 URL이란 무엇인가?
구글에서 말하는 표준 URL(Canonical URL)은 중복된 여러 페이지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페이지의 URL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상품 페이지가 다음과 같이 여러 URL로 접근 가능하다면:
example.com/product/red-shoes
example.com/product/red-shoes?color=red
example.com/product/red-shoes?utm_source=google
구글은 이 중 하나를 표준 URL로 선택하여 색인에 포함시킵니다. 나머지는 중복으로 간주되어 검색 결과에 노출되지 않죠.
이는 검색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구글의 정책입니다. 동일한 내용의 페이지가 여러 개 검색 결과에 나타나면 사용자 입장에서도 불편하니까요.
2. ‘구글에서 사용자와 다른 표준을 선택함’ 메시지의 정확한 의미
이 메시지는 여러분이 canonical 태그나 기타 방법으로 표준 URL을 지정했지만, 구글이 다른 URL을 더 적합한 표준으로 판단했다는 의미입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사용자 선언 표준 URL: 여러분이
<link rel="canonical">
태그로 지정한 URL - 구글 선택 표준 URL: 구글 알고리즘이 실제로 선택한 URL
두 URL이 다를 때 이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중요한 점은 이것이 반드시 오류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때로는 구글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도 있거든요. 하지만 원하는 페이지가 색인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됩니다.
3. 문제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들
내부 링크 구조의 문제
사이트 내에서 canonical로 지정한 URL보다 다른 URL로 더 많이 링크하고 있다면, 구글은 더 많이 링크된 URL을 표준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이트맵과 실제 링크의 불일치
사이트맵(Sitemap)에는 A URL을 포함시켰지만, 실제 페이지에서는 B URL로 canonical을 설정한 경우 혼란이 발생합니다.
리디렉션 설정 오류
301 리디렉션과 canonical 태그가 서로 다른 URL을 가리키고 있다면 구글이 예상과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품질과 사용자 신호
구글은 페이지 로딩 속도, 사용자 경험, 콘텐츠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표준 URL을 선택합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URL보다 다른 URL의 품질이 더 좋다고 판단되면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4. 문제 진단하기 – 서치콘솔에서 확인하는 방법
페이지 색인 생성 보고서 확인하기
-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색인 생성(Indexing) → 페이지(Pages) 클릭
-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Not indexed)’ 섹션에서 해당 항목을 찾아 클릭
URL 검사 도구 활용하기
- 서치콘솔 상단의 URL 검사(URL Inspection) 도구 사용
- 문제가 되는 URL을 입력하여 검사
- 색인 생성 범위(Coverage) → 색인 생성(Indexing) 섹션에서 상세 정보 확인
- ‘구글에서 선택한 표준(Google-selected canonical)’과 ‘사용자 선언 표준(User-declared canonical)’ 비교
실제 페이지에서 확인하기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소스 보기(Ctrl+U)를 통해 <link rel="canonical">
태그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5. 단계별 해결 방법
1단계: 내부 링크 구조 정리
- 사이트 내 모든 링크가 canonical URL로 연결되도록 수정
- 네비게이션 메뉴, 관련 포스트 링크, 내부 링크 모두 점검
- 절대 URL 사용을 권장 (상대 URL보다 명확함)
2단계: Canonical 태그 최적화
<link rel="canonical" href="https://example.com/your-preferred-url" />
- canonical 태그는
<head>
섹션 상단에 위치 - 절대 URL 사용 필수
- 자기 참조 canonical도 명시적으로 설정
3단계: 사이트맵 정리
- 사이트맵에는 canonical URL만 포함
- 중복 URL이나 리디렉션 URL은 사이트맵에서 제거
- 사이트맵 생성 도구를 활용하여 정확성 확보
4단계: 리디렉션 설정 점검
- 301 리디렉션과 canonical 태그가 같은 URL을 가리키는지 확인
- 리디렉션 체인 최소화 (A→B→C가 아닌 A→C로 직접 연결)
- 리디렉션 테스트 도구로 상태 확인
5단계: 색인 생성 요청
- 문제를 수정한 후 URL 검사 도구에서 색인 생성 요청(Request indexing) 클릭
- 구글이 변경사항을 반영할 때까지 2-4주 정도 대기
- 정기적으로 서치콘솔에서 진행 상황 모니터링
6. 실제 해결 사례를 통한 학습
사례 1: 모바일/데스크톱 URL 중복
한 쇼핑몰에서 m.example.com
과 example.com
으로 모바일과 데스크톱 버전이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구글이 모바일 버전을 표준으로 선택하자, 데스크톱 트래픽이 급감했죠.
해결책: 반응형 웹디자인으로 통합하고, canonical 태그를 데스크톱 버전으로 통일했습니다.
사례 2: 매개변수가 포함된 URL 문제
/product/shoes
와 /product/shoes?sort=price
같은 URL들이 중복으로 인식되어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해결책: URL 매개변수 도구(URL Parameters tool)에서 정렬 매개변수를 ‘변경하지 않음’으로 설정하고, canonical 태그를 매개변수가 없는 URL로 통일했습니다.
7.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방법
정기적인 서치콘솔 점검
- 월 1회 이상 페이지 색인 생성 보고서(Page Indexing report) 확인
- 새로운 중복 페이지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지 모니터링
- 검색 실적(Performance) 보고서로 노출 및 클릭 변화 추적
자동화 도구 활용
- Google Analytics 4와 연동하여 페이지별 트래픽 변화 감지
- Screaming Frog 같은 크롤링 도구로 주기적인 사이트 점검
- 서치콘솔 API를 활용한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콘텐츠 업데이트 시 주의사항
- 새 페이지 추가 시 canonical 태그 설정 확인
- URL 구조 변경 시 리디렉션과 canonical 태그 동시 업데이트
- 사이트맵 자동 갱신 시스템 구축
8.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팁들
hreflang과의 관계
다국어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hreflang
태그와 canonical 태그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각 언어별 페이지가 자기 자신을 canonical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AMP 페이지 처리
AMP 페이지가 있다면 AMP 버전의 canonical은 일반 HTML 버전을 가리켜야 하고, 일반 버전에서는 <link rel="amphtml">
태그로 AMP 버전을 연결해야 합니다.
국제화 도메인 고려사항
.com
, .co.kr
등 여러 도메인을 사용한다면 각각 독립적인 콘텐츠로 관리하거나, 명확한 지역별 리디렉션 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중복 페이지, Google에서 사용자와 다른 표준을 선택함” 문제는 복잡해 보이지만, 체계적으로 접근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명확하고 일관된 URL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명확히 원하는 페이지가 있다면, 위에서 제시한 방법들을 차근차근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모니터링한다면 분명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