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을 시작하려는데 어떤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파이썬으로 웹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면 Django(장고)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Instagram, Spotify, Pinterest 같은 글로벌 서비스들이 사용하고 있는 Django는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Django가 무엇인지, 왜 지금도 많은 개발자들이 선택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시작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처음 웹 개발을 공부하시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드려보겠습니다.
1. Django(장고)가 뭔가요? – 파이썬 기반 풀스택 프레임워크
Django는 2005년에 처음 출시된 파이썬 기반 오픈소스 웹 프레임워크(Web Framework)입니다. 공식 슬로건이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즉 “마감이 있는 완벽주의자를 위한 웹 프레임워크”라는 점이 재미있습니다. 빠르게 개발하면서도 품질을 타협하지 않겠다는 철학이 담겨 있죠.
Django라는 이름은 유명한 재즈 기타리스트 Django Reinhardt에서 따왔습니다. 원래는 미국 캔자스주의 한 신문사 웹사이트를 위해 개발되었는데, 워낙 잘 만들어져서 BSD 라이선스로 오픈소스화 되었습니다.
최신 버전은?
2025년 9월 기준으로 Django의 최신 안정 버전은 5.2.6 (LTS – Long Term Support)입니다. LTS 버전은 보안 업데이트를 3년간 지원해주기 때문에 실무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또한 Django 6.0 Alpha가 2025년 9월에 출시되어 곧 정식 버전이 나올 예정입니다.
Django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djangoproject.com/download/
2. 누가 Django를 사용하나요? – 검증된 프레임워크
“아직도 Django를 쓰나요?”라는 질문을 종종 받는데요, 대답은 명확합니다. 전혀 안 쓰는게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이 쓰입니다! 실제로 사용하는 기업들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
- Instagram –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Django 웹사이트입니다. 매년 Django 소프트웨어 재단에 3만 달러 이상을 기부하는 플래티넘 스폰서이기도 합니다
- Spotify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백엔드에 Django 사용
- Pinterest – 초기 개발 단계부터 Django로 구축
- Disqus – 매일 수백만 개의 댓글을 처리하는 댓글 플랫폼
- Mozilla – Firefox 브라우저로 유명한 Mozilla의 여러 웹 애플리케이션
- National Geographic – 콘텐츠 관리 시스템
국내 기업들
- 숨고 – 생활 서비스 플랫폼
- 에이블리 – 패션 커머스 플랫폼
- 렌딧 – P2P 대출 플랫폼
- 오늘학교 – 140만 명이 사용하는 학교생활 앱
- 뤼이드 – 리얼클래스, 타일러 영어 운영
Django를 사용하는 기업 목록: https://www.djangoproject.com/start/overview/
3. Django의 특징 –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
“배터리 포함(Batteries Included)” 철학
Django의 가장 큰 특징은 웹 개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다른 프레임워크처럼 여기저기서 라이브러리를 찾아 조립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본으로 포함된 기능들:
- ORM(Object-Relational Mapping) –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 조작
- 관리자 페이지(Admin Interface) – 자동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관리 UI
- 인증 시스템(Authentication) –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 폼 처리(Forms) – 입력값 검증과 처리
- 보안 기능 – SQL 인젝션, CSRF, XSS 공격 방어
- 국제화(i18n) – 다국어 지원
- 템플릿 엔진(Template Engine) – HTML 렌더링
- URL 라우팅(URL Routing) – URL 매핑 시스템
-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 사용자 상태 관리
- 마이그레이션(Migration)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 관리
4. MVT 패턴 이해하기 – Django의 설계 철학
Django는 MVT(Model-View-Template) 패턴을 사용합니다. 많이 들어본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각 요소가 무엇을 하는지 레스토랑에 비유해서 설명해볼게요.
구성요소 | 역할 | 비유 |
---|---|---|
Model (모델)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구조 정의 | 레스토랑의 식재료 창고 |
View (뷰) | 비즈니스 로직 처리, 데이터 가져오기 | 요리사 (레시피에 따라 요리) |
Template (템플릿) | 사용자에게 보여질 HTML 생성 | 접시에 담아 서빙하는 것 |
URL Dispatcher | URL과 View를 연결 | 주문을 받는 웨이터 |
동작 흐름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URL 요청
- URL Dispatcher가 요청을 받아 적절한 View로 전달
- View가 필요한 데이터를 Model에서 가져옴
- View가 데이터를 Template에 전달
- Template이 HTML로 렌더링
- 완성된 HTML을 사용자에게 응답
# Model 예시 - models.py
from django.db import models
class Article(models.Model):
title = models.CharField(max_length=200)
content = models.TextField()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True)
def __str__(self):
return self.title
# View 예시 - views.py
from django.shortcuts import render
from .models import Article
def article_list(request):
articles = Article.objects.all()
return render(request, 'article_list.html', {'articles': articles})
# URL 설정 - urls.py
from django.urls import path
from . import views
urlpatterns = [
path('articles/', views.article_list, name='article_list'),
]
MVT 패턴 공식 문서: https://docs.djangoproject.com/en/5.2/faq/general/
5. Django ORM – SQL 없이 데이터베이스 다루기
Django의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은 정말 강력한 기능입니다. Python 코드만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어서 SQL을 몰라도 웹 개발이 가능합니다.
ORM이 없다면?
-- SQL로 직접 작성해야 함
SELECT * FROM users WHERE age > 18 AND status = 'active';
Django ORM을 사용하면?
# Python 코드로 간단하게
User.objects.filter(age__gt=18, status='active')
ORM의 장점
- 생산성 향상 – 코드 작성 속도가 빠름
- 데이터베이스 독립성 – PostgreSQL, MySQL, SQLite 등을 쉽게 전환
- SQL 인젝션 방어 – 자동으로 보안 처리
- 가독성 – Python 코드라 읽기 쉬움
- 유지보수 용이 – 구조화된 코드
자동 마이그레이션
Django의 마이그레이션 시스템은 정말 편리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이 필요할 때:
# 모델 변경 후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s # 마이그레이션 파일 생성
python manage.py migrate # 데이터베이스에 적용
단 두 줄의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6. Django 시작하기 – 설치부터 첫 프로젝트까지
실제로 Django를 시작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도록 천천히 설명드릴게요.
사전 준비
Django 5.2는 Python 3.10, 3.11, 3.12를 지원합니다. Python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설치해주세요.
Python 공식 사이트: https://www.python.org/downloads/
# Python 버전 확인
python --version
# 또는
python3 --version
1단계: 가상환경 생성 (Virtual Environment)
가상환경을 사용하면 프로젝트마다 독립된 Python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폴더 생성 및 이동
mkdir my_django_project
cd my_django_project
# 가상환경 생성
python -m venv venv
# 가상환경 활성화
# Windows
venv\Scripts\activate
# Mac/Linux
source venv/bin/activate
2단계: Django 설치
# pip로 Django 설치 (최신 버전)
pip install django
# 특정 버전 설치하고 싶다면
pip install django==5.2.6
# 설치 확인
django-admin --version
3단계: Django 프로젝트 생성
# 프로젝트 생성
django-admin startproject mysite
# 생성된 폴더 구조
mysite/
manage.py
mysite/
__init__.py
settings.py
urls.py
asgi.py
wsgi.py
4단계: 개발 서버 실행
#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cd mysite
# 개발 서버 시작
python manage.py runserver
브라우저에서 http://127.0.0.1:8000/
에 접속하면 Django 환영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5단계: 첫 번째 앱 만들기
Django에서는 프로젝트 안에 여러 개의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앱 생성
python manage.py startapp blog
# settings.py에 앱 등록
INSTALLED_APPS = [
'django.contrib.admin',
'django.contrib.auth',
'django.contrib.contenttypes',
'django.contrib.sessions',
'django.contrib.messages',
'django.contrib.staticfiles',
'blog', # 새로 추가
]
Django 공식 튜토리얼: https://docs.djangoproject.com/en/5.2/intro/tutorial01/
7. Django vs Flask vs FastAPI –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를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비교되는 세 가지입니다. 각각의 특징을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특징 | Django | Flask | FastAPI |
---|---|---|---|
출시 연도 | 2005 | 2010 | 2018 |
철학 | Batteries Included | 미니멀리즘 | 고성능 API |
학습 곡선 | 중간~높음 | 낮음 | 중간 |
속도 | 중간 | 중간 | 매우 빠름 |
기본 제공 기능 | 매우 많음 | 최소 | 중간 |
ORM | 내장 | 별도 설치 필요 | 별도 설치 필요 |
관리자 페이지 | 자동 생성 | 없음 | 없음 |
비동기 지원 | 부분 지원 | 제한적 | 완전 지원 |
적합한 프로젝트 | 대규모 풀스택 웹앱 | 소규모 웹앱, API | 고성능 API, 마이크로서비스 |
Django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빠르게 완성도 있는 웹 서비스를 만들고 싶을 때
- 관리자 페이지가 필요할 때
- 데이터베이스를 많이 다루는 웹사이트
-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 전자상거래, 소셜 네트워크 등
- 보안이 중요한 프로젝트
Flask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나 프로토타입
- 자유도가 높은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할 때
- 학습용으로 웹 개발을 처음 시작할 때
- 마이크로서비스 중 하나의 작은 서비스
FastAPI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고성능 REST API가 필요할 때
- 비동기 처리가 중요한 경우
- 머신러닝 모델 서빙
- 실시간 데이터 처리 API
- 자동 API 문서화가 필요할 때
프레임워크 비교 참고 자료: https://blog.jetbrains.com/pycharm/2025/02/django-flask-fastapi/
8. Django의 장단점 – 솔직하게
장점
1. 빠른 개발 속도 필요한 기능이 이미 구현되어 있어서 개발 시간이 크게 단축됩니다. “바퀴를 다시 발명하지 말라”는 원칙을 실천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2. 보안 SQL 인젝션,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크로스 사이트 요청 위조(CSRF) 등 주요 보안 취약점에 대한 방어가 기본으로 적용됩니다.
3. 확장성 Instagram처럼 수억 명의 사용자를 감당하는 서비스도 Django로 운영됩니다. 캐싱,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등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4. 풍부한 생태계 Django Packages에는 수천 개의 재사용 가능한 앱들이 있습니다. 결제, 이메일, 소셜 로그인 등 대부분의 기능을 패키지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5. 활발한 커뮤니티 20년의 역사와 함께 방대한 문서, 튜토리얼, Stack Overflow 답변이 있습니다. 문제가 생겨도 대부분 검색으로 해결됩니다.
6. DRY 원칙 Don’t Repeat Yourself – 코드 중복을 최소화하는 설계로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단점
1. 무거운 프레임워크 간단한 API 하나 만드는 데도 Django 전체를 설치해야 합니다. 오버스펙이 될 수 있습니다.
2. 학습 곡선 처음에는 배워야 할 것이 많습니다. MVT 패턴, ORM, 템플릿 언어 등 Django만의 방식을 익혀야 합니다.
3. 유연성 제한 Django의 방식을 따라야 하기 때문에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일관성과 안정성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4. 비동기 처리 Django 3.0부터 비동기를 지원하지만, FastAPI에 비하면 아직 완전하지 않습니다.
5. 템플릿 엔진 Django의 템플릿 언어는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요즘은 React, Vue 같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와 분리해서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9. Django 6.0의 새로운 기능
2025년 9월에 출시된 Django 6.0 Alpha에는 흥미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습니다.
내장 백그라운드 작업(Background Tasks)
이제 Celery 같은 별도 도구 없이도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from django.tasks import background
@background(schedule="5m")
def send_welcome_email(user_id):
user = User.objects.get(pk=user_id)
user.email_user("환영합니다!", "가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어디서든 호출
send_welcome_email(user.id)
더 강력한 비동기 지원
Python 3.12+의 기능을 활용한 네이티브 비동기 뷰, 미들웨어, ORM 쿼리를 지원합니다.
async def async_dashboard(request):
data = await fetch_realtime_metrics()
return JsonResponse(data)
강화된 보안
CSP(Content Security Policy) 미들웨어가 기본 제공되어 보안 헤더 설정이 간편해졌습니다.
Django 6.0 정보: https://docs.djangoproject.com/en/dev/releases/6.0/
10. 참고할만한 문서 – Django 마스터하기
공식 문서 (필수!)
Django 공식 문서는 정말 잘 되어 있습니다. 초보자 튜토리얼부터 심화 내용까지 모두 있습니다.
- 공식 튜토리얼: https://docs.djangoproject.com/en/5.2/intro/tutorial01/
- 공식 문서: https://docs.djangoproject.com/
추천 학습 경로
- Python 기초 – Django를 배우기 전에 Python 문법을 먼저 익히세요
- 공식 튜토리얼 – 7개 파트로 구성된 투표 앱 만들기
- 실습 프로젝트 – 블로그, 게시판 등 만들어보기
- 심화 학습 – ORM 최적화, 테스트, 배포
커뮤니티
- Django 공식 포럼: https://forum.djangoproject.com/
- Django Discord: 실시간 질문답변
- Stack Overflow:
django
태그로 검색 - Reddit: r/django 커뮤니티
한국어 자료
- MDN Django 튜토리얼: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Server-side/Django
- WikiDocs: 점프 투 장고
- YouTube: 다양한 한국어 강의
11. 실전 – 현업에서 Django 사용하기
개발 환경 구성
IDE 추천
- PyCharm – Django 전용 기능 지원 (유료지만 Community 버전도 좋음)
- VS Code – Python 확장 프로그램 설치
필수 패키지
pip install django-debug-toolbar # 디버깅
pip install django-extensions # 유틸리티
pip install pillow # 이미지 처리
pip install python-decouple # 환경변수 관리
프로덕션 배포
Django 개발 서버(runserver
)는 실제 서비스용이 아닙니다. 배포 시에는:
- WSGI 서버: Gunicorn, uWSGI
- 웹 서버: Nginx, Apache
-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 권장 (MySQL, MariaDB도 가능)
- 클라우드: AWS, Google Cloud, Heroku, PythonAnywhere
성능 최적화
- 쿼리 최적화:
select_related()
,prefetch_related()
활용 - 캐싱: Redis, Memcached 사용
- 정적 파일: CDN 사용
- 데이터베이스 인덱싱: 자주 조회하는 필드에 인덱스
Django는 20년의 역사를 가진 검증된 프레임워크입니다. 빠른 개발 속도, 강력한 보안, 풍부한 기능으로 여전히 많은 개발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배울 것이 많아 보일 수 있지만, 한번 익히고 나면 정말 생산적으로 웹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혼자서 처음부터 끝까지 웹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면 Django만큼 좋은 선택지는 없습니다. 프로젝트의 규모, 팀 구성, 요구사항에 따라 Flask나 FastAPI가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완성도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만들어야 한다면 Django를 자신있게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