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데이터 백업의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IT 업무를 하시든, 개인적으로 소중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싶으시든, 백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복잡해 보이는 백업 방식들을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은 원본 데이터의 복사본을 별도 저장소에 보관하여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는 과정입니다. 백업 방식은 크게 데이터 범위, 저장 위치, 백업 타이밍, 저장 매체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범위별 백업 방식

1.1 전체 백업 (Full Backup)

전체 백업은 지정된 모든 데이터를 완전히 복사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확실한 백업 방법이죠.

특징:

  • 모든 파일과 데이터를 완전히 복사
  • 복구 시 단일 백업본만 필요
  • 가장 많은 저장 공간과 시간 소요
항목 설명
복구 속도 매우 빠름 (단일 백업본 사용)
저장 공간 많이 필요
백업 시간 오래 걸림
적합한 경우 중요한 시스템, 주기적 완전 백업

1.2 증분 백업 (Incremental Backup)

마지막 백업 이후 변경된 파일만 백업하는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작동 원리:

  • 첫 번째: 전체 백업 수행
  • 이후: 이전 백업 이후 변경된 파일만 백업

실제 예시:

  • 월요일: 전체 백업 (100GB)
  • 화요일: 변경된 5GB만 백업 (증분)
  • 수요일: 화요일 이후 변경된 3GB만 백업 (증분)
  • 목요일: 수요일 이후 변경된 7GB만 백업 (증분)
항목 설명
저장 공간 매우 적게 필요
백업 시간 매우 빠름
복구 복잡성 높음 (여러 백업본 필요)
적합한 경우 일일 백업, 저장 공간 절약이 중요한 경우

1.3 차등 백업 (Differential Backup)

마지막 전체 백업 이후 변경된 모든 파일을 백업하는 방식입니다.

증분 백업과의 차이점:

  • 증분: 직전 백업 대비 변경사항
  • 차등: 마지막 전체 백업 대비 변경사항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증분 백업의 경우:

  • 월요일: 전체 백업 100GB
  • 화요일: 월요일 대비 변경분 5GB (총 105GB 데이터)
  • 수요일: 화요일 대비 변경분 3GB (총 108GB 데이터)
  • 복구 시: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백업이 모두 필요

차등 백업의 경우:

  • 월요일: 전체 백업 100GB
  • 화요일: 월요일 대비 변경분 5GB
  • 수요일: 월요일 대비 변경분 8GB (화요일 5GB + 추가 3GB)
  • 복구 시: 월요일 + 수요일 백업만 있으면 됨
항목 증분 백업 차등 백업
백업 크기 가장 작음 중간
복구 속도 느림 보통
필요한 백업본 수 많음 2개 (전체 + 차등)

 

 

2. 저장 위치별 백업 방식

2.1 로컬 백업 (Local Backup)

동일한 시설 내 별도 저장장치에 백업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빠른 백업 및 복구 속도
  • 네트워크 대역폭 불필요
  • 완전한 제어 가능

단점:

  • 물리적 재해에 취약
  • 도난, 화재 등의 위험
매체 유형 용량 속도 비용
외장 HDD 높음 보통 낮음
외장 SSD 중간 빠름 중간
NAS 매우 높음 빠름 높음

2.2 원격 백업 (Remote Backup)

다른 지역의 데이터센터나 서버에 백업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지리적 분산을 통한 재해 대응
  •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 전문 업체의 관리 및 보안

2.3 클라우드 백업 (Cloud Backup)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인프라를 활용한 백업입니다.

주요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

서비스 제공업체 특징
Amazon S3 AWS 높은 내구성(99.999999999%)
Google Cloud Storage Google 강력한 보안 및 암호화
Microsoft Azure Backup Microsoft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원
iCloud Apple macOS/iOS 완벽 통합

 

 

3. 백업 타이밍별 분류

3.1 핫 백업 (Hot Backup)

시스템이 운영 중인 상태에서 수행되는 백업입니다.

특징:

  • 서비스 중단 없이 백업 가능
  • 온라인 백업(Online Backup)이라고도 함
  • 데이터베이스나 중요 서비스에 필수

적용 사례:

  • 24시간 운영 서비스
  • 실시간 트랜잭션 시스템
  • 중요한 데이터베이스

3.2 콜드 백업 (Cold Backup)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한 후 수행하는 백업입니다.

특징:

  • 데이터 일관성 보장
  • 오프라인 백업(Offline Backup)이라고도 함
  • 시스템 다운타임 발생

장점:

  • 완벽한 데이터 무결성
  • 백업 과정 중 데이터 변경 없음
  • 빠른 백업 속도

3.3 웜 백업 (Warm Backup)

읽기 전용 모드로 전환 후 수행하는 백업입니다.

특징:

  • 읽기 서비스는 유지
  • 쓰기 작업만 일시 중단
  • 핫백업과 콜드백업의 절충안

 

 

4. 저장 매체별 백업 방식

4.1 디스크 기반 백업 (Disk-to-Disk, D2D)

HDD 백업:

  • 대용량 저장 가능
  •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
  • 기계적 부품으로 인한 내구성 한계

SSD 백업:

  • 빠른 읽기/쓰기 속도
  • 충격에 강함
  • 높은 비용

4.2 테이프 백업 (Tape Backup)

장기 보관용 백업의 표준입니다.

테이프 유형 용량 특징
LTO-9 18TB (압축시 45TB) 최신 표준, 높은 용량
LTO-8 12TB (압축시 30TB) 안정적, 널리 사용
LTO-7 6TB (압축시 15TB) 기존 시스템 호환성

테이프 백업의 장점:

  • 매우 긴 수명 (30년 이상)
  • 대용량 데이터 저장
  • 에어갭(Air Gap) 보안

4.3 클라우드 스토리지

스토리지 클래스별 특징:

클래스 AWS 복구 시간 비용 용도
Hot S3 Standard 즉시 높음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
Warm S3 Standard-IA 즉시 중간 월 1회 미만 접근
Cold S3 Glacier 3-5시간 낮음 분기별 접근
Archive S3 Deep Archive 12시간 매우 낮음 연간 1-2회 접근

 

 

5. 그 외 추가적인 백업 방법

5.1 스냅샷 백업 (Snapshot Backup)

특정 시점의 데이터 상태를 즉시 캡처하는 기술입니다.

작동 원리 쉽게 이해하기: 스냅샷은 마치 “사진을 찍는 것”과 같습니다. 특정 시점의 파일 시스템 상태를 기록해두고, 실제로는 변경된 부분만 따로 저장합니다.

Copy-on-Write 방식:

  1. 스냅샷 생성 시점에는 실제 데이터 복사 없음
  2. 파일이 변경될 때만 원본을 별도 공간에 복사
  3. 변경 전 상태는 스냅샷에서, 변경 후 상태는 원본에서 유지

실제 활용 예시:

  • VM 백업: 가상머신을 순간적으로 백업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중에도 일관성 있는 백업
  • 테스트 환경: 업데이트 전 상태로 즉시 롤백 가능

주요 기술:

  • VSS (Volume Shadow Copy Service) – Windows
  • LVM (Logical Volume Manager) – Linux
  • ZFS Snapshots – Solaris/FreeBSD

5.2 연속 데이터 보호 (Continuous Data Protection, CDP)

실시간으로 모든 데이터 변경을 추적하고 백업하는 방식입니다.

특징:

  • RPO(Recovery Point Objective) = 0
  • 임의 시점 복구 가능
  • 높은 시스템 리소스 요구

5.3 데이터 중복제거 (Data Deduplication)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한 번만 저장하여 공간을 절약하는 기술입니다.

중복제거 방식:

방식 설명 장점 단점
파일 레벨 동일한 파일 제거 단순함 낮은 효율성
블록 레벨 동일한 블록 제거 높은 효율성 복잡함
바이트 레벨 바이트 단위 제거 최고 효율성 높은 CPU 사용량

 

 

6. 백업을 위한 구체적인 예시

6.1 3-2-1 백업 원칙

데이터 백업의 황금 법칙입니다:

  • 3개의 복사본: 원본 + 백업 2개
  • 2개의 서로 다른 매체: 예) 디스크 + 클라우드
  • 1개의 오프사이트 저장: 다른 지역에 보관

구체적인 적용 예시:

개인 사용자의 경우:

  • 원본: 컴퓨터 내부 하드디스크의 사진/문서
  • 백업 1: 외장하드에 저장 (다른 매체)
  • 백업 2: 구글드라이브에 업로드 (오프사이트)

회사의 경우:

  • 원본: 사무실 서버의 업무 데이터
  • 백업 1: 사무실 내 NAS 장비에 저장 (다른 매체)
  • 백업 2: AWS 클라우드에 업로드 (오프사이트)

왜 이 원칙이 중요한가요?

  • 하드웨어 고장 → 다른 매체에서 복구
  • 화재/도난 → 오프사이트 백업에서 복구
  • 실수 삭제 → 여러 복사본 중에서 복구

6.2 백업 검증 (Backup Verification)

백업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검증 방법:

  • 체크섬 검증: 데이터 무결성 확인
  • 복구 테스트: 실제 복구 과정 시뮬레이션
  • 자동화된 검증: 스크립트를 통한 정기 검사

6.3 보존 정책 (Retention Policy)

백업 데이터를 얼마나 오래 보관할지 결정하는 정책입니다.

일반적인 보존 전략:

백업 유형 보존 기간 예시
일일 백업 1개월 평일 업무 데이터
주간 백업 6개월 주요 시스템 상태
월간 백업 2-3년 규정 준수 요구사항
연간 백업 7-10년 장기 아카이브

 

 

7. 백업 복구 지표 (RPO, RTO)

7.1 핵심 지표 이해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 허용 가능한 데이터 손실 범위
  • 마지막 백업 시점부터 장애 시점까지의 시간

RTO (Recovery Time Objective)

  • 허용 가능한 복구 시간
  • 장애 발생부터 서비스 복구까지의 목표 시간
비즈니스 중요도 RPO RTO 권장 백업 방식
매우 중요 15분 이하 30분 이하 Hot Backup + 실시간 복제
중요 1시간 이하 4시간 이하 Hot Backup + 차등 백업
일반 1일 이하 24시간 이하 증분 백업
낮음 1주 이하 72시간 이하 주간 전체 백업

 

 


참고 자료: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