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엔지니어링 작업을 하다 보면 복잡한 ETL 작업을 코딩으로 구현하느라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가 있죠. 특히 여러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고, 변환하고, 적재하는 과정을 일일이 코드로 작성하다 보면 정작 중요한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런 고민을 해결해줄 수 있는 오픈소스 도구, Apache Hop을 소개해드립니다. 드래그 앤 드롭으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시각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서, 코드를 줄이면서도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도구입니다.

 

 

Apache Hop

 

 

1. Apache Hop이란?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새로운 방법

Apache Hop(Hop Orchestration Platform)은 데이터와 메타데이터 오케스트레이션의 모든 측면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데이터 통합 플랫폼입니다. 2025년 10월 현재 최신 버전은 2.15로, 2025년 8월 20일에 출시되었습니다.

Hop은 단순한 ETL 도구를 넘어서, 시각적 개발 환경을 통해 데이터 엔지니어들이 ‘어떻게(How)’가 아닌 ‘무엇을(What)’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즉, 복잡한 코드 작성 대신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Pentaho Kettle/PDI 사용자라면 주목!

Apache Hop을 찾아보다 보면 Pentaho나 Kettle이라는 이름이 자주 등장합니다. Apache Hop은 2019년 말 Pentaho Data Integration(Kettle)에서 fork되어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완전히 독립적인 프로젝트로 자체 로드맵과 개발 방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Pentaho Community Edition은 2022년 11월 이후 업데이트나 보안 패치가 중단된 반면, Apache Hop은 활발한 커뮤니티와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Pentaho 사용자들에게 훌륭한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비교는 Apache Hop 공식 비교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왜 Apache Hop을 선택해야 할까? 핵심 장점 살펴보기

직관적인 시각적 개발 환경 (Hop GUI)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s)와 파이프라인(Pipelines)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데이터 처리 로직도 시각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팀원들과의 협업이나 유지보수가 훨씬 수월합니다. 코드를 읽는 것보다 다이어그램을 보는 것이 이해하기 쉽죠.

한 번 만들면 어디서든 실행: Design Once, Run Anywhere

Hop GUI에서 한 번 설계한 워크플로우는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로컬 Hop 엔진: 개발 단계나 소규모 작업
  • Apache Spark: 대용량 배치 처리
  • Apache Flink: 실시간 스트림 처리
  • Google Dataflow: 구글 클라우드 환경
  • AWS EMR: 아마존 클라우드 환경

개발 환경에서 만든 파이프라인을 프로덕션 환경의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그대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메타데이터 중심 설계로 유연한 관리

Hop은 완전히 메타데이터 기반으로 작동하며, 모든 객체 타입이 데이터를 어떻게 읽고, 조작하고, 쓸지를 메타데이터로 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설정 변경이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한 곳에서 정의하면 모든 파이프라인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발부터 배포까지: 프로젝트 및 환경 관리

Hop은 프로젝트(Projects)와 환경(Environments) 개념을 명확히 분리합니다. 개발(Development), 테스트(Test), 프로덕션(Production) 환경별로 다른 설정을 적용할 수 있어, DevOps 관점에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합니다. 각 환경마다 다른 데이터베이스 서버, 다른 파일 경로를 사용하면서도 코드는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볍고 빠른 실행 속도

Hop의 설치 크기는 Pentaho 대비 75% 작으며, 몇 초 만에 시작됩니다. 필요한 플러그인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 가벼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커피 한 잔 마실 시간도 필요 없습니다!

 

 

3. Apache Hop 시작하기: 설치부터 첫 실행까지

시스템 요구사항 확인하기

Apache Hop를 실행하려면 Java 17이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Apache Hop 공식 문서에서 지원하는 JVM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계별 설치 가이드

1단계: Java 설치하기

  • Oracle Java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Java 17 이상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 설치 후 터미널이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java -version 명령으로 설치를 확인합니다.

2단계: Apache Hop 다운로드

  • Apache Hop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의 바이너리(Binaries)를 다운로드합니다.
  • 2025년 10월 현재 최신 버전은 2.15입니다.
  • 소스 코드가 아닌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의존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단계: 압축 해제 및 실행

다운로드한 파일을 원하는 폴더에 압축 해제합니다.

# Windows의 경우
hop-gui.bat

# Linux/Mac의 경우
./hop-gui.sh

실행하면 몇 초 안에 Hop GUI가 시작됩니다!

Hop GUI 인터페이스 살펴보기

Hop GUI를 시작하면 깔끔하게 정리된 화면이 나타납니다. 주요 영역을 살펴볼까요?

  • 메인 툴바(Main Toolbar): 상단에 위치하며 새 파일 생성, 프로젝트(Projects) 및 환경(Environments) 관리, 저장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퍼스펙티브 툴바(Perspectives Toolbar): 작업 뷰를 전환하는 메뉴입니다.
    • 데이터 오케스트레이션(Data Orchestration): 파이프라인과 워크플로우 설계
    • 메타데이터(Metadata): 연결 정보, 설정 등 관리
    • 실행 정보(Execution Information): 실행 로그 및 결과 확인
  • 캔버스(Canvas): 실제로 파이프라인과 워크플로우를 그리는 작업 공간

자세한 인터페이스 설명은 Hop GUI 공식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4. 첫 파이프라인 만들어보기: 따라하기 가이드

이제 실제로 첫 번째 파이프라인을 만들어보면서 Apache Hop의 기본 개념을 익혀보겠습니다. 간단한 데이터 생성부터 CSV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을 구현해볼게요.

프로젝트 생성하기

Apache Hop에서는 모든 작업이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됩니다.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합니다.

  1. 메인 툴바(Main Toolbar)에서 프로젝트(Projects) 아이콘 클릭
  2. 새 프로젝트(New Project) 선택
  3. 프로젝트 이름 입력 (예: “my-first-hop-project”)
  4. 홈 폴더(Home Folder) 경로 지정 (찾아보기(Browse) 버튼으로 폴더 선택 또는 생성)
  5. 확인(OK) 버튼 클릭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이 프로젝트 폴더 안에 모든 파이프라인, 워크플로우, 메타데이터가 저장됩니다.

파이프라인 생성하기

파이프라인(Pipeline)을 생성하려면:

  1. 메인 툴바의 새로 만들기(New) 옵션 클릭
  2. 파이프라인(Pipeline) 옵션 선택
  3. 또는 단축키 Ctrl+N 사용 후 파이프라인 선택

빈 캔버스가 나타나면 준비 완료입니다!

단계 1: Generate Rows 트랜스폼 추가

트랜스폼(Transform)은 파이프라인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1. 파이프라인 캔버스의 빈 공간을 클릭
  2. 검색창(Search)에 “generate rows” 입력
  3. Generate Rows 트랜스폼 선택
  4. 트랜스폼이 캔버스에 추가되면 더블클릭하여 설정 창 열기:
    • 트랜스폼 이름(Transform name): “샘플 데이터 생성” 입력
    • 제한(Limit): 10 (10개 행 생성)
    • 끝없이(Never ending): 체크 해제
    • 필드 탭(Fields)으로 이동: 하단 “필드 가져오기(Get Fields)” 버튼 클릭하여 샘플 필드 자동 추가
    • 또는 수동으로 필드 추가 (예: “이름”, “나이”, “이메일” 등)
  5. 확인(OK) 클릭

단계 2: Text File Output 트랜스폼 추가

이제 생성된 데이터를 CSV 파일로 저장하는 트랜스폼을 추가합니다.

  1. 캔버스에서 다시 빈 공간 클릭
  2. “text file output” 검색
  3. Text File Output 트랜스폼 선택
  4. 더블클릭하여 설정:
    • 트랜스폼 이름(Transform name): “CSV 파일 저장”
    • 파일명(Filename): 출력할 파일 경로 지정 (예: C:\temp\output 또는 /tmp/output)
    • 확장자(Extension): csv
    • 헤더 포함(Include header): 체크 (첫 줄에 컬럼명 포함)
    • 필드 탭(Fields): 하단 “필드 가져오기(Get Fields)” 버튼으로 이전 트랜스폼의 필드 자동 가져오기
  5. 확인(OK) 클릭

단계 3: Hop(연결선) 만들기

두 트랜스폼을 연결하여 데이터가 흐르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Hop에서 ‘Hop’은 연결선을 의미합니다.

연결 방법:

  • 방법 1: “샘플 데이터 생성” 트랜스폼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CSV 파일 저장” 트랜스폼에 연결
  • 방법 2: Shift 키를 누른 채로 두 트랜스폼을 순서대로 클릭

화살표가 연결되면 성공입니다!

파이프라인 저장 및 실행하기

저장하기:

  1. 파일(File) → 저장(Save) 또는 Ctrl+S
  2. 파일명 입력 (예: “my-first-pipeline.hpl”)

실행하기:

  1. 메인 툴바에서 실행(Run) → 시작(Launch) 클릭
  2. 실행 설정 창이 나타나면:
    • 파이프라인 실행 구성(Pipeline run configuration): “local” 선택 (로컬에서 실행)
    • 실행(Run) 버튼 클릭

실행이 완료되면 하단의 로그 창(Logging)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지정한 경로에 CSV 파일이 생성됩니다. 10개의 행이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파일을 열어보세요!

 

 

5.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들

Apache Hop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몇 가지 핵심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파이프라인(Pipelines): 데이터 처리의 실행자

파이프라인은 데이터를 읽고, 변환하고, 저장하는 실제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Apache Hop에서 파이프라인 내의 트랜스폼들은 병렬로 실행되어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합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순차 처리와의 큰 차이점입니다.

파이프라인 파일 확장자는 .hpl (Hop Pipeline)입니다.

워크플로우(Workflows): 작업의 오케스트레이터

워크플로우는 여러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입니다.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면 Apache Hop이 자동으로 시작(Start) 액션을 추가합니다.

워크플로우 활용 예시:

  • 파일 존재 여부 확인 → 파이프라인 실행 → 성공 시 이메일 알림 발송
  • 데이터베이스 백업 → 데이터 추출 → 검증 → 적재 → 보고서 생성

워크플로우 파일 확장자는 .hwf (Hop Workflow)입니다.

트랜스폼(Transforms): 데이터 처리의 빌딩 블록

트랜스폼은 파이프라인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개별 단위입니다. Apache Hop은 수백 개의 트랜스폼을 제공하며, 각 트랜스폼은 특정 데이터 처리 기능을 담당합니다.

주요 트랜스폼 카테고리:

카테고리 주요 트랜스폼 예시 용도
입력(Input) Text File Input, Table Input, CSV Input, Excel Input, JSON Input, REST Client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 읽기
변환(Transform) Filter Rows, Calculator, String Operations, Merge Join, Sort Rows, Select Values 데이터 필터링, 계산, 문자열 처리, 조인, 정렬
출력(Output) Text File Output, Table Output, Insert/Update, Delete, Excel Writer 데이터를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조회(Lookup) Database Lookup, Stream Lookup, Fuzzy Match 다른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 조회
유틸리티(Utility) Block Until Transforms Finish, Copy Rows to Result, Write to Log 흐름 제어 및 디버깅

각 트랜스폼의 설정 창에는 왼쪽 하단에 도움말(Help) 버튼이 있어 언제든 관련 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액션(Actions): 워크플로우의 작업 단위

액션은 워크플로우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 단위입니다. 트랜스폼이 데이터를 처리한다면, 액션은 작업을 실행합니다.

주요 액션 유형:

  • 파일 관리: 파일 복사, 이동, 삭제, 압축/해제, FTP/SFTP 전송
  • 데이터베이스: SQL 실행, 테이블 생성/삭제, 벌크 로드
  • 실행: 파이프라인 실행, 워크플로우 실행, 셸 스크립트 실행
  • 통신: 이메일 발송, HTTP 요청
  • 제어: 조건 분기, 루프, 성공/실패 처리

메타데이터(Metadata): 재사용 가능한 설정

메타데이터 객체는 여러 파이프라인과 워크플로우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설정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연결(Relational Database Connections):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
  • 파일 정의(File Definitions): 파일 구조 정의
  • 파이프라인 로그(Pipeline Log): 로깅 설정
  • 변수 리졸버(Variable Resolvers): 환경 변수 관리 (2.12부터 추가)

메타데이터는 프로젝트 레벨에서 관리되므로, 한 번 정의하면 프로젝트 내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실전 활용 예시: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이론을 넘어 실제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예시 1: 데이터베이스에서 CSV로 데이터 추출하기

시나리오: MySQL 데이터베이스의 고객 테이블을 매일 CSV 파일로 백업

구현 단계:

  1. Database Connection 메타데이터 생성
    • 왼쪽 메타데이터 패널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연결(Relational Database Connections) 우클릭
    • 새로 만들기(New) 선택
    • 연결 정보 입력:
      • 이름(Name): “고객DB”
      • 연결 유형(Connection Type): MySQL
      • 호스트 이름(Host Name): localhost
      • 데이터베이스 이름(Database Name): customer_db
      • 포트(Port): 3306
      • 사용자명(Username)과 비밀번호(Password) 입력
    • 테스트(Test) 버튼으로 연결 확인
  2. 파이프라인 구성
    • Table Input 트랜스폼 추가:
      • 연결(Connection): “고객DB” 선택
      • SQL 입력: SELECT * FROM customers WHERE created_date >= CURDATE()
    • Text File Output 트랜스폼 추가:
      • 파일명: ${PROJECT_HOME}/output/customers_${Internal.Job.Date}.csv
      • 인코딩(Encoding): UTF-8
      • 구분자(Separator): 쉼표
    • 두 트랜스폼을 Hop으로 연결
  3. 워크플로우로 스케줄링
    • 워크플로우 생성
    • 액션 순서: 시작(Start) → 파일 존재 확인(Check if file exists) → 파이프라인 실행(Pipeline) → 메일 발송(Mail)
    • 조건 분기: 파일이 이미 있으면 건너뛰기

이 워크플로우를 리눅스 cron이나 Windows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하면 자동화 완성입니다!

예시 2: 여러 CSV 파일 병합 및 데이터 정제

시나리오: 여러 지점에서 받은 CSV 파일들을 하나로 병합하고 중복 제거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구현 단계:

  1. CSV File Input 트랜스폼
    • 파일 또는 디렉토리(File or directory): /data/sales/
    • 정규식(Regular Expression): sales_.*\.csv (sales_로 시작하는 모든 CSV)
    • 파일 정보를 필드로 추가(Add filenames to result): 체크하면 어느 파일에서 왔는지 추적 가능
  2. Select Values 트랜스폼
    • 필요한 컬럼만 선택하고 이름 변경
    • 불필요한 공백 제거(Trim type): both
  3. Filter Rows 트랜스폼
    • 조건 설정: 매출액(amount) > 0 AND 날짜(date) IS NOT NULL
    • 조건에 맞는 행은 다음 단계로, 맞지 않는 행은 로그로 출력
  4. Sort Rows 트랜스폼
    • 정렬 기준: 고객ID(customer_id), 날짜(date)
    • 중복 제거를 위한 사전 정렬
  5. Unique Rows 트랜스폼
    • 비교할 필드(Fields to compare): 고객ID, 날짜
    • 중복된 행 제거
  6. Table Output 트랜스폼
    • 대상 테이블(Target table): sales_consolidated
    • 배치 크기(Commit size): 1000 (성능 최적화)

이 파이프라인 하나로 수십 개의 CSV 파일을 몇 초 만에 정제하고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예시 3: REST API 데이터 수집 및 변환

시나리오: 외부 API에서 JSON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요한 필드만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구현 단계:

  1. REST Client 트랜스폼 추가
    • URL: https://api.example.com/products?page=${page}
    • HTTP 메서드(HTTP Method): GET
    • 헤더(Header): Authorization: Bearer ${API_TOKEN}
    • 결과 필드명(Result fieldname): json_response
  2. JSON Input 트랜스폼
    • 소스(Source): 이전 필드(field)에서 가져오기
    • 소스 필드(Source field): json_response
    • JSON 경로 정의:
      • $.data[*].id → product_id
      • $.data[*].name → product_name
      • $.data[*].price → price
      • $.data[*].category.name → category
  3. Calculator 트랜스폼
    • 가격 계산식 추가 (예: VAT 포함 가격 = price * 1.1)
    • 현재 타임스탬프 추가
  4. Table Output 트랜스폼
    • 대상 테이블에 저장

추가 팁: Apache Hop 2.11부터는 Language Model Chat 트랜스폼을 사용하여 수집한 텍스트 데이터를 LLM으로 분석하거나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 설명을 자동으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작업도 가능합니다!

더 많은 예시는 Hop 설치 폴더의 config/projects/samples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Apache Hop Samples 페이지에서도 다양한 샘플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7. 한 단계 더 나아가기: 고급 기능 활용법

기본을 넘어 Apache Hop의 강력한 고급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

Apache Beam 통합으로 분산 처리하기

Hop은 Apache Beam을 기본으로 지원하는 최초의 GUI 기반 파이프라인 디자이너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실행 설정 예시:

# 로컬 실행
./hop-run.sh --project myproject \
             --file pipelines/data-processing.hpl \
             --runconfig local

# Google Dataflow에서 실행
./hop-run.sh --project myproject \
             --file pipelines/data-processing.hpl \
             --runconfig DataflowRunner

# Apache Spark에서 실행
./hop-run.sh --project myproject \
             --file pipelines/data-processing.hpl \
             --runconfig SparkRunner

파이프라인 코드는 동일하지만, 실행 설정(Run Configuration)만 바꾸면 다른 엔진에서 실행됩니다. 이것이 바로 “Design Once, Run Anywhere”의 실제 구현입니다!

환경 변수로 설정 분리하기

HOP_CONFIG_FOLDER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Hop 설치 폴더 외부에 설정을 저장할 수 있어, 버전 업그레이드나 여러 Hop 인스턴스 관리가 편리합니다.

Linux/Mac에서 설정:

# ~/.bashrc 또는 ~/.zshrc에 추가
export HOP_CONFIG_FOLDER=/home/user/hop-config
export HOP_AUDIT_FOLDER=/home/user/hop-audit

# 적용
source ~/.bashrc

Windows에서 설정:

  1. 시작 메뉴에서 “환경 변수” 검색
  2. 시스템 속성 → 환경 변수(Environment Variables) 클릭
  3. 새 사용자 변수(User Variable) 추가:
    • 변수 이름: HOP_CONFIG_FOLDER
    • 변수 값: C:\Users\YourName\hop-config

이렇게 설정하면 Hop 버전을 업그레이드해도 프로젝트 목록, 최근 파일, 환경 설정이 모두 유지됩니다.

Git 통합으로 버전 관리하기

프로젝트 폴더를 Git 저장소로 만들면 팀 협업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Apache Hop 2.11부터는 File Explorer 퍼스펙티브에서 직접 Git 연동이 가능합니다.

Git 통합 기능:

  • 브랜치 생성, 전환, 삭제, 병합
  • 스테이징된 파일 색상 구분
  • 커밋 히스토리 확인
  • 인증 및 권한 관리 개선

Git 통합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닛 테스트로 데이터 품질 보장하기

파이프라인에 유닛 테스트를 작성하여 데이터가 예상대로 처리되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유닛 테스트 활용 예시:

  • 입력 데이터의 필드 개수와 타입 검증
  • 변환 로직이 올바른 결과를 생성하는지 확인
  • 특정 조건에서 예외 처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

데이터 파이프라인도 소프트웨어입니다. 코드처럼 테스트해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8. 더 빠르게 만들기: 성능 최적화 노하우

Apache Hop을 사용하다 보면 성능 개선이 필요한 순간이 옵니다.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 팁을 공유합니다.

병렬 처리로 속도 높이기

파이프라인은 네트워크와 같아서, 가장 느린 트랜스폼이 전체 속도를 제한합니다. Hop GUI에서 실행 중 느린 트랜스폼은 점선으로 표시되므로, 이를 확인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최적화 방법:

  1. 병렬 복사본 늘리기
    • 느린 트랜스폼을 우클릭 → 설정(Settings)
    • “실행할 복사본 수(Copies to start)” 증가 (예: 1 → 4)
    • CPU 코어 수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
  2. 배치 크기 조정
    • 데이터베이스 입출력 시 커밋 크기(Commit size) 증가 (예: 100 → 1000)
    • 작은 배치보다 큰 배치가 일반적으로 더 빠릅니다
  3. 불필요한 트랜스폼 제거
    • 사용하지 않는 필드는 Select Values에서 제거
    • 중복된 정렬이나 필터 제거

주의사항: 무조건 병렬성을 높인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측정하고, 테스트하고, 반복하세요!

메모리 설정 최적화하기

기본적으로 Hop은 최대 2GB 힙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에는 이를 늘려야 합니다.

설정 방법:

hop-gui.sh (또는 hop-gui.bat)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열어 다음 부분을 수정:

# 기본 설정
HOP_OPTIONS="-Xmx2048m"

# 4GB로 증가
HOP_OPTIONS="-Xmx4096m"

# 8GB로 증가 (대용량 데이터 처리)
HOP_OPTIONS="-Xmx8192m"

또는 환경 변수로 설정:

export HOP_OPTIONS="-Xmx8192m"

JVM 가비지 컬렉션 옵션 추가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HOP_OPTIONS="-Xmx8192m -XX:+UseG1GC -XX:MaxGCPauseMillis=200"

로깅 전략으로 문제 추적하기

워크플로우와 파이프라인의 로깅을 캡처하여 문제 발생 시 추적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로깅 옵션:

  • Pipeline Log / Workflow Log: 실행 이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 Logging Reflection: 트랜스폼별 처리 통계 기록
  • Neo4j 로깅: Neo4j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에 로깅하면 Hop GUI의 Neo4j 퍼스펙티브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

로깅 설정은 Apache Hop 로깅 가이드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팁

  1. 인덱스 활용: 조회(Lookup) 작업 시 데이터베이스 인덱스가 있는지 확인
  2. 벌크 로더 사용: 대량 데이터 적재 시 Table Output 대신 MySQL Bulk Loader, PostgreSQL Bulk Loader 등 전용 트랜스폼 사용
  3. 연결 풀링: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에서 connection pooling 활성화

 

 

9. Pentaho에서 Apache Hop으로 쉽게 전환하기

Pentaho PDI를 사용 중이라면 Apache Hop으로의 전환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마이그레이션 과정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마이그레이션 도구 사용하기

Hop GUI에서 가져오기:

  1. Hop GUI에서 파일(File) → Kettle/PDI에서 가져오기(Import from Kettle/PDI) 선택
  2. 또는 단축키 Ctrl+I 사용
  3. 가져오기 설정 창에서:
    • 입력 폴더(Input folder): Kettle/PDI 프로젝트 폴더 선택
    • 대상 폴더(Target folder): Apache Hop 프로젝트 폴더 선택
  4. 가져오기(Import) 버튼 클릭

몇 초 후 마이그레이션 요약 창이 나타나며, 변환된 파일 목록과 주의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줄 도구 사용:

# Linux/Mac
./hop-import.sh --input-folder /path/to/kettle/project \
                --output-folder /path/to/hop/project

# Windows
hop-import.bat --input-folder C:\kettle\project ^
               --output-folder C:\hop\project

주요 변경사항 확인하기

마이그레이션 시 다음 사항들이 자동으로 변환됩니다:

Pentaho/Kettle Apache Hop 설명
Transformations (.ktr) Pipelines (.hpl) 파일 확장자 변경
Jobs (.kjb) Workflows (.hwf) 파일 확장자 변경
Steps Transforms 용어 변경
Entries Actions 용어 변경
Kitchen hop-run 명령줄 실행 도구 통합
Pan hop-run 명령줄 실행 도구 통합

마이그레이션 후 주의사항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리: 동일한 이름이지만 다른 설정을 가진 데이터베이스 연결이 여러 개 발견되면, 프로젝트 폴더에 connections.csv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 파일을 열어서 중복된 연결을 수동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제거된 기능:

  • JNDI: 10년 이상 업데이트되지 않은 기능으로 제거됨
  • Formula Step: 더 효율적인 Calculator 트랜스폼으로 대체
  • 저장소(Repositories): 파일 기반,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제거 (Git 사용 권장)

새로 추가된 기능:

  • Projects와 Environments 개념
  • Apache Beam 통합
  • 향상된 메타데이터 관리
  • Git 통합

자세한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는 Apache Hop 공식 마이그레이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커뮤니티 및 학습 리소스

Apache Hop은 활발한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학습에 도움이 되는 리소스를 정리했습니다.

공식 리소스

커뮤니티 참여 방법

Apache Hop은 Apache Software Foundation 프로젝트로, 완전히 커뮤니티 기반으로 개발됩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기여 방법도 다양합니다:

  • 메일링 리스트: 질문하고 토론하기
  • 버그 리포팅: GitHub Issues에서 버그나 개선사항 제안
  • 문서 개선: 문서 오타 수정이나 예시 추가
  • 코드 기여: 새 기능 개발이나 버그 수정
  • 번역: 다양한 언어로 Hop GUI 번역 참여
  • 튜토리얼 작성: 블로그나 동영상으로 사용법 공유

기여는 코드 작성만이 아닙니다! Contribution Guide에서 자세한 방법을 확인하세요.

추천 학습 경로

1단계 – 기본 익히기:

  • Hop 설치 시 포함된 Samples 프로젝트 열어보기 (config/projects/samples)
  • 간단한 파이프라인 만들어보기 (CSV 읽기 → 변환 → 저장)
  • 각 트랜스폼의 Help 버튼으로 문서 확인하기

2단계 – 실전 프로젝트:

  • 실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소스 연결해보기
  • 프로젝트와 환경 설정하기
  • Git으로 버전 관리 시작하기

3단계 – 고급 기능:

  • Apache Beam으로 분산 처리 테스트
  • 유닛 테스트 작성
  • 커스텀 플러그인 개발 (필요시)

유용한 커뮤니티 블로그

자주 묻는 질문 (FAQ)

Q: Apache Hop은 무료인가요? A: 네! Apache License 2.0 하에서 완전히 무료이며 상업적 용도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Pentaho와 호환되나요? A: 직접 호환은 되지 않지만, 가져오기 도구로 쉽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Q: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나요? A: MySQL,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MongoDB, Neo4j, Cassandra 등 대부분의 주요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합니다.

Q: 클라우드에서 실행할 수 있나요? A: 네! Docker 컨테이너로 배포하거나, AWS EMR, Google Dataflow 등의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Apache Hop은 현대적인 데이터 엔지니어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강력하면서도 사용하기 쉬운 도구입니다. 시각적 개발 환경, 유연한 실행 옵션, 활발한 커뮤니티 지원이 결합되어, 소규모 데이터 처리부터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환경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Apache Hop의 핵심 가치:

  • 생산성: 코드 대신 드래그 앤 드롭으로 빠르게 개발
  • 유연성: 한 번 만들면 어디서든 실행 가능
  • 확장성: 소규모부터 페타바이트급 데이터까지 처리
  • 개방성: 완전한 오픈소스, 커뮤니티 주도 개발

특히 Pentaho PDI 사용자라면 익숙한 개념을 유지하면서도 훨씬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므로, 전환을 적극 고려해볼 만한 시점입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라이선스 비용 걱정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에 고민이 있으셨다면, 오늘 소개한 내용을 참고하여 Apache Hop을 직접 체험해보시기 바랍니다.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고, 공식 문서와 샘플 프로젝트를 활용하면 금방 익숙해지실 수 있을 겁니다.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