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Polylang으로 구해낸 내 블로그! 중복 컨텐츠가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갉아먹었던 이야기를 한 번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정말 뼈아픈 경험을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바로 제가 직접 겪었던 중복 컨텐츠 문제와, Polylang 플러그인으로 어떻게 이를 해결했는지에 대한 실전 경험담입니다. 혹시 비슷한 상황에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이렇게 시작된 재앙의 서막- 중복 컨텐츠가 애드센스 수익을 갉아먹다!
처음에는 정말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습니다. ‘내 블로그 컨텐츠를 영어로도 번역해서 올리면 해외 독자들도 유입될 텐데!’ 하는 생각이었거든요. 그래서 열심히 쓴 한글 포스트를 영어로 번역해서 같은 사이트에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검색엔진이 두 가지 대체 언어 버전의 컨텐츠를 중복 컨텐츠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페이지의 SEO 및 순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상황이 제게 일어났던 것이죠.
실제로 경험한 충격적인 변화들:
- 구글 서치콘솔에서 노출수가 급격히 감소
- 애드센스 수익이 이전의 30% 수준으로 추락
- 기존에 상위 랭킹하던 키워드들의 순위 급락
- 전체적인 유기적 트래픽 감소
정말 막막했습니다. 뭔가 크게 잘못됐다는 건 알겠는데,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하기 어려웠거든요.
2. 중복 컨텐츠의 무서운 실체
부적절한 hreflang 태그 구현은 중복 콘텐츠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Google은 중복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처벌하지 않지만 미국인을 위해 설계된 영어 페이지가 프랑스의 영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페이지보다 순위가 높은 것을 원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범한 실수는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잘못된 다국어 컨텐츠 구성:
- 동일한 도메인에서 단순히 언어만 다른 동일 컨텐츠 게시
- hreflang 태그 없이 번역본 업로드
- URL 구조 없이 무작정 번역 포스트 작성
- canonical 태그 설정 없이 중복 컨텐츠 방치
Google은 페이지에 표시된 콘텐츠만 사용하여 언어를 결정합니다. lang 속성 같은 코드 수준 언어 정보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즉, 구글이 제 한글 포스트와 영어 포스트를 서로 다른 언어의 대체 버전이 아닌, 그냥 중복된 컨텐츠로 봤던 것이죠.
3. 워드프레스 Polylang 플러그인, 구원자의 등장
검색과 고민을 거듭한 끝에 발견한 것이 바로 Polylang 플러그인이었습니다. Polylang은 주요 SEO 플러그인과 호환되며 html hreflang 태그와 opengraph 태그와 같은 다국어 SEO를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Polylang 플러그인의 핵심 기능들:
- 자동 hreflang 태그 생성: 각 언어 버전 간의 관계를 구글에 명확히 알려줌
- 언어별 URL 구조: example.com/ko/, example.com/en/ 형태로 체계적 관리
- SEO 플러그인 연동: Yoast SEO, RankMath 등과 완벽 호환
- 번역 관리: 포스트, 페이지, 메뉴, 위젯까지 통합 관리
Polylang Pro는 subdirectories, subdomains, 또는 각 언어별 별도 도메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example.com/en/”, “en.example.com”, “example.fr”. 저는 서브디렉토리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4. Polylang 설정 과정과 주의사항
1단계: 플러그인 설치 및 기본 설정
Polylang을 설치한 후 가장 먼저 한 일은 언어 설정이었습니다. 간단한 마법사를 따라 선택한 언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기본): ko_KR
영어: en_US
URL 구조: /ko/, /en/
2단계: 기존 컨텐츠 언어 지정
가장 중요했던 부분입니다. 기존에 올렸던 모든 포스트에 대해:
- 한글 포스트 → 한국어로 지정
- 영어 포스트 → 영어로 지정
- 서로 번역 관계 설정
3단계: hreflang 태그 확인
각 언어 버전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모든 다른 언어 버전을 나열해야 합니다. Polylang이 이를 자동으로 처리해주지만,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link rel="alternate" hreflang="ko" href="https://example.com/ko/post-title/" />
<link rel="alternate" hreflang="en" href="https://example.com/en/post-title/" />
<link rel="alternate" hreflang="x-default" href="https://example.com/ko/post-title/" />
5. 애드센스 수익 회복을 위한 부가적인 방법
Polylang 설정 후에도 수익 회복을 위해 몇 가지 더 신경 써야 할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즉시 적용한 회복 전략들:
수입 감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수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측정항목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클릭당비용(CPC), CTR, 노출수 등의 측정항목이 중요합니다.
- 서치콘솔 모니터링 강화
- 색인 생성 상태 매일 체크
- 새로운 URL 구조에 대한 크롤링 요청
- 사이트맵 재제출
- 사용자 경험 개선
- 언어 스위처 메뉴 추가
- 페이지 로딩 속도 최적화
- 모바일 반응형 확인
- 콘텐츠 품질 향상 100페이지 분량의 인덱스를 생성하여 수익을 올릴 목적으로 품질이 낮은 콘텐츠로 사이트를 채워서는 안 됩니다. 기존 번역 콘텐츠의 품질을 재검토하고 개선했습니다.
6. 실제 효과와 수익 회복 과정
Polylang 설정 후 약 2-3주가 지나면서 서서히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1주차: 구글 서치콘솔에서 새로운 URL 구조 크롤링 시작 2주차: 색인 생성 오류 감소, hreflang 태그 정상 인식 3주차: 노출수 회복 시작, 애드센스 수익 상승 신호 4주차: 거의 이전 수준으로 회복, 일부 키워드는 더 좋은 순위
페이지가 분산되어 광고 게재율과 입찰가 등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해결되면서 애드센스 성능도 크게 개선됐습니다.
7. Polylang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들
반드시 피해야 할 실수들:
- 일부 페이지만 번역하지 않기 모든 중요 페이지(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 등)도 반드시 번역해야 합니다.
- URL 구조 중간에 변경하지 않기 한 번 정한 구조(/ko/, /en/)는 웬만하면 바꾸지 마세요.
- 자동 번역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기 과도한 AI 의존은 지양하시기를 바랍니다. 구글이나 네이버나 결국 질 높은, 사람이 작성한 콘텐츠로 판단되는 글을 좋게 봅니다.
- 사이트맵 업데이트 놓치지 않기 새로운 언어 구조에 맞는 사이트맵을 제출해야 합니다.
8. 마지막으로 꼭 지켜야 하는 사항들!
다국어 사이트를 운영하신다면 반드시 처음부터 제대로 된 구조로 시작하세요. example.com/de/ 형태로 다국어 사이트 URL을 구성하고 rel-alternate-hreflang으로 해당 컨텐츠 언어를 설정해주는 것이 보편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입니다.
성공적인 다국어 블로그를 위한 체크리스트:
- ✅ Polylang 또는 유사 플러그인으로 체계적 언어 관리
- ✅ 각 언어별 고유한 URL 구조 설정
- ✅ hreflang 태그 자동 생성 확인
- ✅ 모든 중요 페이지의 번역 완료
- ✅ 언어 전환 메뉴의 사용자 친화적 배치
- ✅ 각 언어별 맞춤형 SEO 최적화
제 경험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국어 사이트 운영은 분명 까다롭지만, 제대로 된 도구와 방법을 사용한다면 오히려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혹시 비슷한 문제로 고민 중이시라면 주저하지 마시고 지금 바로 Polylang 플러그인을 설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