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을 도입하려는 순간,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합니다. “무료 버전으로 충분할까, 유료가 필요할까?” 실제로 많은 기업이 잘못된 선택으로 나중에 큰 비용을 치르곤 합니다. 오늘은 MySQL의 라이센스 차이를 실무 관점에서 명쾌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MySQL

 

1. 한 눈에 보는 MySQL 라이센스 구조

MySQL은 듀얼 라이센싱 모델을 사용합니다. 즉, 같은 소프트웨어를 두 가지 다른 라이센스로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두 가지 라이센스의 핵심 차이

구분 Community Edition (무료) Enterprise Edition (유료)
라이센스 GPL v2 Oracle 상용 라이센스
비용 무료 연 $5,350~ (서버당)
소스코드 공개 배포 시 의무 의무 없음
Oracle 지원 ✅ 24×7 Premier Support
엔터프라이즈 기능 ✅ 보안, 백업, 모니터링 도구

 

 

2. GPL 라이센스(Community Edition -무료) 사용, 정확히 언제 문제가 될까?

많은 분들이 GPL을 오해합니다. “MySQL을 사용하면 무조건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 Community Edition 무료 사용 가능 (소스코드 공개 의무 없음)

  • 회사 내부 시스템: ERP, 인사관리, 그룹웨어 – 직원 1만명이 써도 OK
  • 웹 서비스(SaaS): 넷플릭스, 페이스북처럼 서비스만 제공 – 유료 서비스도 OK
  • 클라우드 서비스: AWS, Azure에서 서비스 운영 – API만 제공하면 OK
  • 개발/학습 목적: 개인 프로젝트, 교육용, 연구용 – 모두 자유롭게 사용
  • 오픈소스 프로젝트: GPL 호환 라이센스로 공개하는 프로젝트

❌ GPL로 하면 안 되는 경우 (Enterprise Edition 또는 대안 필요)

  • 패키지 소프트웨어 판매:
    • ❌ 회계 프로그램 + MySQL을 묶어서 고객 PC에 설치
    • ❌ 병원 관리 시스템을 MySQL과 함께 납품
  • 임베디드 제품 판매:
    • ❌ POS 단말기에 MySQL 내장하여 판매
    • ❌ IoT 기기, 의료기기에 MySQL 포함
  • 모바일 앱 배포:
    • ❌ 앱 안에 MySQL 라이브러리 포함하여 앱스토어 배포
    • ❌ MySQL Connector를 앱에 내장
  • 독점 라이브러리 배포:
    • ❌ MySQL을 사용하는 상용 라이브러리/SDK 판매
    • ❌ MySQL 기반 독점 프레임워크 배포

💡 GPL 회피 꿀팁

  1. 분리 설치: “MySQL 5.7 이상 필요”라고만 명시하고 고객이 직접 설치
  2. API 분리: 웹 API로 분리하여 네트워크로만 통신
  3. 대안 DB: PostgreSQL(BSD), SQLite(Public Domain) 사용

핵심 원칙: “배포”하지 않으면 GPL 의무가 없습니다. 내부 사용이나 웹 서비스는 배포가 아닙니다.

 

 

3. Enterprise vs Community 실제 비용 비교

 

연간 라이센스 비용 (2025년 기준)

Edition 가격 포함 사항 추천 대상
Community $0 기본 MySQL 스타트업, 내부 시스템
Standard $2,140/년 MySQL + 기술지원 중소기업
Enterprise $5,350/년 전체 기능 + 프리미어 지원 대기업, 금융/의료

주의사항: 개발, 테스트, 백업 서버도 모두 라이센스 필요

  • 예: 운영 3대 + 개발 2대 + 백업 1대 = 6개 라이센스 × $5,350 = 연 $32,100

 

 

4. Enterprise만 가능한 기능

Enterprise Edition의 진짜 가치는 추가 도구에 있습니다.

핵심 차별화 기능

기능 설명 실제 활용 가치
TDE (투명한 암호화) 디스크 데이터 자동 암호화 규정 준수 필수 (금융, 의료)
Enterprise Backup 온라인 Hot 백업 무중단 백업 가능
Enterprise Firewall SQL Injection 실시간 차단 보안 위협 자동 방어
Audit Plugin 모든 DB 활동 로그 감사 대응, 문제 추적
Thread Pool 대량 접속 최적화 동시접속 1000+ 처리
Monitor & Query Analyzer 성능 모니터링 대시보드 문제 조기 발견

중요: 데이터베이스 엔진 자체는 Community와 Enterprise가 100% 동일합니다.

 

 

5. 클라우드 플랫폼별 라이센스

관리형 서비스 vs 직접 설치

구분 Oracle 라이센스 필요 비용 관리 부담
AWS RDS for MySQL ❌ 불필요 시간당 과금 AWS가 관리
Azure Database for MySQL ❌ 불필요 시간당 과금 MS가 관리
EC2/VM에 직접 설치 ✅ 필요 라이센스 + 인프라 직접 관리

: 관리형 서비스는 라이센스 걱정 없이 사용 가능하며, 관리 부담도 줄어듭니다.

 

 

6. 현명한 선택 가이드

시나리오별 추천

“우리는 스타트업이고 내부 서비스만 운영해요”

Community Edition 충분

“B2B SaaS를 운영 중이에요”

Community Edition 사용 가능 (소스코드 공개 의무 없음)

“고객사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줘야 해요”

Enterprise Edition 또는 고객이 MySQL 별도 설치

“금융/의료 규정 준수가 필요해요”

Enterprise Edition (암호화, 감사 기능 필수)

“동시접속자가 수천 명이에요”

Enterprise Edition (Thread Pool 필요) 또는 클라우드 관리형 서비스

 

 

7. 자주 묻는 질문과 실무 팁

Q1. “웹사이트에 MySQL을 쓰면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하나요?”

아니요. 웹 서비스는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것이 아니므로 GPL 의무가 없습니다.

Q2. “개발은 Community, 운영은 Enterprise 가능한가요?”

가능하지만 Enterprise 전용 기능(TDE, Audit 등)을 사용한다면 개발 환경도 Enterprise가 필요합니다.

Q3. “MySQL을 고객사에 설치하는데 GPL을 피하려면?”

  1. Enterprise Edition 구매
  2. 고객이 직접 Community Edition 설치하도록 안내
  3. PostgreSQL 같은 BSD 라이센스 DB 사용

Q4. “MariaDB는 MySQL과 뭐가 다른가요?”

MariaDB는 MySQL을 만든 개발자가 Oracle 인수 후 만든 포크 버전입니다. MySQL과 99% 호환되며, 일부 기능은 LGPL 라이센스로 더 자유롭습니다.

 

 

8. 라이센스 감사 대비 체크리스트

Oracle은 주기적으로 라이센스 감사를 실시합니다. 미리 준비하세요:

✅ 모든 MySQL 설치 현황 문서화
✅ 버전 확인: SELECT @@version_comment
✅ Enterprise 기능 사용 여부 점검
✅ 개발/테스트 서버 포함 전수 조사
✅ 구매 증빙 자료 보관

 

 

간단히 마무리 정리하자면…

  1. 내부 사용이나 SaaS는 Community Edition으로 충분합니다
  2. 고객에게 소프트웨어를 배포한다면 Enterprise Edition이 필요합니다
  3. 클라우드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하면 라이센스 고민이 사라집니다
  4. Enterprise의 핵심 가치는 보안/관리 도구와 기술 지원입니다
  5. 불확실하다면 법률 자문을 받으세요

MySQL 라이센스는 복잡해 보이지만, “배포 여부”만 명확히 판단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Community Edition도 충분히 강력하니, 무작정 Enterprise를 구매하기보다는 실제 필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자료

 

댓글 남기기